- 영문명
-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白裕相(Baik You-sa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 4호, 267~2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 One of the unique syndromes in Asian traditional medicine named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熱入血室, HEBC)' first appeared in Shanghanlun (傷寒論) and Jinguiyaolue (金 匱要略) written by Zhangzhongjing(張仲景) who is the most famous doctor in ancient China. Method : Through comparison between Huangdineijing (黃帝內經), Shanghanlun (傷寒論), Jinguiyaolue (金 匱要略) and other medical texts, the correct meaning, causes and mechanisms of HEBC can be analysed and organized to suggest new view of HEBC in modern society.
Result : This syndrome is usually occurred in women during catching cold and menstruation, accompanying alternation of chillness and fever, pseudo-malaria, delirium, raveled chest(結胸), uterine hemorrhage, etc. The main sign of this syndrome, delirium belongs to the category of liver disease and fever in Huangdineijing (黃帝內經) which is a document more early published than Shanghanlun . Although there are still many other comprehensions about what blood chamber is, it could be the same as uterus according to Huangdineijing , it is relevant to the control of menstruation and emotions, and the function of liver and thoroughfare vessel(衝脈). Conclusion : HEBC is a syndrome exclusive to women, caused by their uniqu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s beginning can be found in Huangdineijing , and by Shanghanlun and Jinguiyaolue , its concept as a single disease pattern becomes established. In other words, HEBC is a complex disease related to menstruation and its related hormonal dysfunctions, closely related to PMS, menopausal syndrome of today. Physical symptoms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anxiety and fear is characteristic of this condition. Therefore gynecological approaches as well as socio-cultural issues related to women in modern society must be adopted when dealing with HEBC.
목차
Ⅰ. 序 論
Ⅱ. 本 論
Ⅲ. 考察 및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黃帝內經․素問」 의 槪念語와 論旨 分析
- 《黄帝内经》成书的西汉文化背景
- 小字本系統 「金匱要略」 吳遷本의 特徵에 대한 考察
-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 奇經八脈의 생리적 특성에 대한 고찰
- ‘七方’說의 변화·발전 과정
- 關闔樞와 標本中氣 從化規律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 「素問」版本槪要
- 『伤寒杂病论』美容理论与方药的考察
- 中醫近世 1) 外科 2) 「反常」手術之謎— 中醫為什麼沒有「手術」傳統?
- 「素問」의 刺血療法에 대한 硏究
- 조선의 名醫 유이태(劉以泰.劉爾泰) 연구
- 大腸正格證과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과의 관계 考察
- 「新纂辟瘟方」의 瘟疫 인식 및 辟疫書로서의 의의에 대한 고찰
- 明代 儒醫 李梴의 道敎이해
- ‘十劑’說의 변화·발전 과정
- 「黃帝內經⋅素問 」에 수록된 五臟原穴鍼法의 적응증 선별 연구
- 「東醫壽世保元」 引用文 硏究에 적용할 수 있는 方法論에 관한 考察(2)
- 「藏珍要編」의 選穴特性에 관한 연구
- 이규준 의서 「황제내경소문대요」의 유통본과 그 저본이 된 조선 간본 「황제내경소문」
- 兩周傳世文獻所見之醫療巫術考察
- 杨上善对中医理论体系框架形成的贡献
- 左腎右命門과 腎間動氣의 통합적 이해를 위한 연구
- 「臟腑標本虛實寒熱用藥式」 의 標本病 구분에 대한 考察
- 民火의 개념 및 膀胱氣化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輔行訣臟腑用藥法要」에 기재된 「傷寒雜病論」 方劑에 관한 小考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