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심재생사업 참여주체간 의사합의과정의 합리성 제고방안
이용수 30
- 영문명
-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Rationality of Communicative Consensus Process among the Participants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송종철(Song, Jong-Chul) 장희순(Jang, Hee-Soon) 방경식(Bang, Kyung-Sik)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3권 제2호 (통권 제28호), 25~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communicative consensus process among the participants was rational or not in the districts of Jeju City released from the regeneration promo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positive analysis using six indexes on the rationality of communicative consensus proces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plann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munication among the local residents of the urban regeneration districts was not active throughout the promo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articularly among housing or commercial tenants, communication was not smooth in terms of all the measured variables, and tenants who though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unacceptable ha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unwillingly and passively. Such a difference in socioeconomic pos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For the activation of smooth communication, local residents’ socioeconomic aspects should be surveyed first. Furthermore, a public sphere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residents hav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the course of planning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a council should be organized among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reach consensus, what is more, all the participants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need to make basic plans through a rational communicative consensus process. Such a rational communicative consensus process based on smooth communication among the participants will prevent conflicts among the interested parties and the alienation of the socioeconomic minorities, and reduce social costs resulting from the delay or cancell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목차
Ⅰ. 서 론
Ⅱ. 의사소통의 이론 고찰
Ⅲ. 분석틀 및 조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태양열시스템 적용과 하절기 과열방지에 관한 연구
- 아파트 전세가율 변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이동통신 기지국/중계기 운용을 위한 부동산 임대시장 분석에 관한 연구
- 지역 중심도시와 연계한 정주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
-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규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주거지 공·폐가 정비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평가기준 연구
- 읍성도시 유형별 도시발전 방안 연구
- 부산지역의 아파트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층간소음 피해자의 대응태도
- 퍼지함수와 AHP를 이용한 요양병원 입지요인분석
- 은행권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 결정요인 연구
- 부동산중개서비스의 요인이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경제요인에 관한 연구
- 아파트 관리비 운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법적 고찰
- 패널 VAR모형을 이용한 한국 주택 매매, 전세시장에 관한 연구
- 국내 건축가들의 건축디자인 방법 분석
- 도심재생사업 참여주체간 의사합의과정의 합리성 제고방안
- 진주중앙지하상가의 재활성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아돌프 로스 주거건축에서 나타나는 근대도시 인식과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 아토피 개선용 황토·숯보드판넬 개발 및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물내의 실내 녹화로 인한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접경지역 지원사업의 지역파급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