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거환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7
- 영문명
-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n Happines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임준홍(Im, Jun-Hong) 홍성효(Hong, Sung-Hyo)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2권 제2호 (통권 제24호), 137~15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Korea has recently experienced high rate of suicide together with rapid economic growth. It is meaningful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as determinants of happiness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policies is to enhance people's happines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n happiness through two-step regression analysis on Chungnam Social Survey. In the first step we explain personal happiness as a function of the fixed effects of individual residence (i.e., Eup, Myun, and Dong)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 the second step average happiness of each residence captured in the first step where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for is explained by residential environments of Eup, Myun, or Dong in question. This study finds that individual person's happiness is affected mainly by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mily members, household income, employment status as well as the person's own characteristics.
Empirical results in the second step suggest that, rather than physical factors, social network (e.g., trust on neighbo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important, an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policies focusing on build-up of infrastructures could be restricted at least in terms of increasing people's happ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모형
Ⅲ. 자료 및 변수
IⅤ.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공성 증진을 위한 복합용도시설 실내 공공공간의 건축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민간제안 준(準)공공임대주택 리츠의 활성화 방안
- 건강한 도시환경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호텔개발사업의 재무적 타당성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
- 외국인 밀집지역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요인 분석
- 저항형단열재와 반사형단열재의 단열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지역커뮤니티 시설로서 종합교육관 건축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 병원건축의 실내공기질 개선 및 유해인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신규 아파트 초기 분양률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거래사례비교법에 의한 표준지공시지가 결정요인의 실증분석
- 토지이용지표를 활용한 도시특성분류와 도시유형별 토지이용계획의 실태분석
- 태양광 박막필름을 이용한 경관 및 패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아파트가격 유형별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가격 간 선ㆍ후행 관계분석
- 도시개발사업에서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의 재무적 타당성 분석
- A Study on the scheme for establishment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in apartment complex
- 중소형 도심형아울렛 활성화의 중요 요인에 관한 연구
- 충남도청 이전이 대전광역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영업규제에 따른 외식업의 매출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