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제 관여도와 학습자의 영어능숙도가 영어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12
- 영문명
- The effects of task-induced involvement and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Kim, Jie Young)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27권 3호, 105~1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induced involvement and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 total of 79 low proficient students from university A and 47 high proficient students from university B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fferent subgroups and asked to complete three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tasks respectively. The three tasks varied in terms of involvement: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plus fill-in-the-blanks, and sentence writing tasks. Ten target words, in the form of nonsense words were created and replaced ten English words in two reading texts. The time on tasks was controlled in 20 minutes. After completing these tasks, students took immediate receptive and productive post tests. Two weeks later, they took delayed receptive and productive post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as for low proficient learn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f the three groups in immediate productive post-tests and delayed receptive and productive post-tests. Differences were revealed only in the immediate receptive post-test.
However, with respect to the high proficient learn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four measures.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ask types and learners' proficiencies in immediate productive post-test and delayed receptive and productive pos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did not confirm involvement load hypothesis in the low proficient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designing tasks for better vocabulary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for lower proficient learners.
목차
I. 서 론
II.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caffolding Reading Comprehension: A Case Study of a Young Korean English Language Learner
- 과업의 관여도 차이가 한국 대학생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Use and Effects of the Tutoring Service at the English Writing Lab
- 영자신문제작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읽기-쓰기 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제2언어 자아와 영어 학습 동기: 면담법을 통한 사례 연구
- 소외계층 초등학생 대상 영어 음운 인식 및 어휘 지도
- 과제 관여도와 학습자의 영어능숙도가 영어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 The Impact of a New Challenge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영어 학습 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구조모형 개발 및 적용연구
- 듣기 전략 훈련이 EFL 학습자의 TOEIC 듣기 시험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수준별 영어 수업에 대한 연구
- 영어작문수업에서의 자동작문채점기 FES 활용에 대한 타당성 연구
-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L2 Meaning Making in an EFL Context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