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 구성에 관한 고찰
이용수 371
- 영문명
- A Study on Numerals Constructions of Sino-Korean: through the Comparison of Chinese and Sino-Japanese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리우 완잉(Liu Wan ying 劉婉瑩)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16권 2호, 206~227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와서 한국어에서 수사(數詞)는 학교문법을 비롯해 일반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품사로 간주된다. 품사는 단어를 다루는 갈래이므로 수사는 품사로 인정된 이상 단어로 간주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일', '이', '백', '천' 등 단일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 표현은 수를 나타내는 여러 요소가 일정한 산수연산을 기반으로 한 배열 원칙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이들은 일종의 언어적 연속체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구조상 일반적으로 말하는 단어와 구별이 된다. 수 표현의 이러한 특징은 결국 이를 단어를 다루는 차원, 즉 형태론적 차원에서 일부 탈출시켜 형태론과 통사론의 경계에 두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수 표현의 내적 구조를 다루는 데 보이(2010)에서 제시된 형식과 의미의 쌍인 '구성(construction)'의 개념을 도입하고 '틀(schema)'을 통해 포착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보이(2010)에서 제시된 '구성'의 개념은 형태론과 통사론의 경계에 있는 수 표현을 분석하기 위한 올바른 분석 도구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였는데 본고는 이와 같은 접근은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을 분석하는 데에도 역시 유용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보이(2010)에서 제안된 '틀'만으로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의 특징을 전면적으로 규명하는 데 역시 무리가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한국어와 한자어 수 표현 방식을 공유(共有)하는 중ㆍ일 양 언어와의 대조ㆍ비교를 통한 분석적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채워 나갔다. 본고는 이러한 복합적인 시도를 통해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의 보편성 및 특수성을 보다 명확히 포착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In Korean language, numerals are generally seen as an independent part of speech, including school grammar. Since the notion of 'party of speech' is a linguistic category of words, when numerals are seen as a part of speech, they should also be seen as words. But most of the Korean numerals are formed by several constituent arranges based on arithmetical operations rules, except of simple words such as 'il'(one), 'i'(two), 'baek'(hundred), 'cheon'(thousand). For reasons of such property, numerals are discrepant from the word decision standards and are located at demarcation of morphology and syntax. This paper payed attention to such problem and analysed the numerals of Sino-Korean with a notion 'construction' by Booij(2010). The 'construction' is seen as the pairing of form and meaning and interpreted be means of schema. Booij(2010) argued that the notion of construction provided the right analytic tool for a proper analysis of numerals which locate at demarcation of morphology and syntax, and this approach is indeed useful for the numerals of Sino-Korean. But the property of Sino-Korean numerals can not be illuminated completely through schema. At this time, analytic method such as the contrastive of Sino-Korean, Chinese, and Sino-Japansese can be carried out. Through such comprehensive approach,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Sino-Korean numerals could be acquired clearly.
목차
요약
1. 머리말
2.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방법의 선정
3.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 구성의 특징
4. 마무리
참고논저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형태론』 15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1)
- 졸저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2007)의 질의에 대한 해명
- Andrew Carstairs-McCarthy, The Evolution of Morph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xii+253Pp.
-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전제 조건
-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 구성에 관한 고찰
- '구성적 틀'의 관점에서 본 '[N+V+-(으)ㅁ/이/기]'형 단어
- 한국어 형태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서
- 개념어로 살펴본 현대국어 문법사
- 마쓰모토 가쓰미(松本克己)의 『世界言語のなかの日本語ー日本語系統論の新たな地平』 (三省堂 2007, 박종후(역) 『언어유형지리론과 환태평양 언어권』, 역락 2014)을 읽고
- 『형태론』15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2)
- 민족어의 통시 유형론을 어떻게 얽을 것인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