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전제 조건
이용수 339
- 영문명
- The prerequisite for the morphological research using lexical decision task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송원용(Song Won Yong 宋源容)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16권 2호, 156~184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실험 중 실수 때문에 발생한 반응시간의 단축은 반응시간 평균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지만 실험 중 해이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시간의 지연은 반응시간 평균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형태론 연구를 위하여 실험 결과를 활용한 가설 검정을 수행하기 전에 실험 중 해이에 의한 실험값을 결측값으로 처리하여 한다. 국어 형태론 연구를 위한 어휘판단과제에서는 일반적인 심리언어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자극과 그 유형이나 속성이 비교적 다양하고 복잡한 자극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심리언어학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2초 이상의 자극을 모두 결측값으로 처리하는 절대적 단일 방향 가공보다는 전체 반응시간의 상하위 5%에 해당하는 실험 결과를 결측값으로 처리하는 상대적 양방향 가공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relative bidirectional treatment, by which all data which are in 5% of each end of all reaction times from the subjects are changed into missing data, was appropriate for removing influences from lax responses of the subjects who have performed lexical decision tasks on various grammatical units such as bound syntactic atoms, ill-formed conjugated forms and so on. First of all, it was not reaction time shortening caused by keyboard errors but reaction time extension caused by subjects' laxity during the lexical decision tasks that have an effect on the means of the data. In addition, decision errors could occur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set up for morphological study, but those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s on the means of reaction times on each stimulus. Thus it is not advisable to eliminate all the reaction times of wrong answers if the decision is not restricted to lexicality but extended to grammaticality for morphological study
목차
요약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대상 실험
3. 실험 중 실수 및 해이의 통제
4. 응답 값 정오 변수의 통제
5. 결론
참고논저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형태론』 15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1)
- 졸저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2007)의 질의에 대한 해명
- Andrew Carstairs-McCarthy, The Evolution of Morph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xii+253Pp.
- 어휘판단과제를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전제 조건
- 한국어 한자어 수 표현 구성에 관한 고찰
- '구성적 틀'의 관점에서 본 '[N+V+-(으)ㅁ/이/기]'형 단어
- 한국어 형태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서
- 개념어로 살펴본 현대국어 문법사
- 마쓰모토 가쓰미(松本克己)의 『世界言語のなかの日本語ー日本語系統論の新たな地平』 (三省堂 2007, 박종후(역) 『언어유형지리론과 환태평양 언어권』, 역락 2014)을 읽고
- 『형태론』15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2)
- 민족어의 통시 유형론을 어떻게 얽을 것인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