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형사합의가 양형에 미치는 효과분석: 성폭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131
- 영문명
- The Effect of Criminal Case Agreement on Sentence Length in Sexual Assault Crime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기광도(Ki, Kwang-Do)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23권 제2호, 203~2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iminal case agreement of victim and criminal on sentence length in sexual assault crime. Criminal case agree-ment refers to the inter-agreement of the criminal victim and the criminal that the crim-inal compensates victim's injuries and damages of the criminal act by monetary value, and in turn the victim agrees to terminate the criminal proceedings. The criminal case agreement is a objective indicator of restoration/restitution of victim's injuries and damages. In Korea, the criminal case agreement have been practiced as a non-official institu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The data analy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entencing in court of first in-stance in Korea, kept files in Prosecutorial Guideline System(PGS)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by content analysis. The data consists of a total of 1,076 of sen-tencing of sexual assault crimes sentenced between June 1, 2012 and June 30, 2014. We used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indicate that criminal case agreement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sentence length in sexual assault crime, while offence's seriousness, prior crimi-nal record, victim’s requests on criminal punish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isonment length. Such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criminal case agreement is a sig-nificant factor in sexual assault crime, therefore we suggest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 legal factor in criminal sentencing system. And we wish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criminal sentencing system in our society. From our study, we hope that our society would attempt to develop a more just, fair sentencing system.
목차
Ⅰ. 머리글
Ⅱ. 형사합의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맺음글: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살인피해자 유가족의 경험과 한국형 심리지원 방안모색을 위한 제언
- 형사합의가 양형에 미치는 효과분석: 성폭력을 중심으로
- 관광범죄피해자의 논의를 통한 피해방지 및 지원 방안: 취약성 이론에 근거한 설명을 중심으로
- SNS를 이용한 범죄의 피해실태 및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 필리핀 앙헬레스 한국인의 범죄두려움 관련 요인 연구
- 유럽의 가정폭력범죄 대응정책에 관한 검토
- 재난에 대한 형법적 대응 - 과실범, 추상적 위험범 형식의 형벌규정을 이용한 재난에 대한 형법적 대응의 적정성 검토 -
- 범죄피해자지원시스템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범죄에 대한 두려움: 다수준 상호작용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