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피해자지원시스템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이용수 540
- 영문명
-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Crime Victim Support System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강동욱(Kang, Dong-Wook) 송귀채(Song, Gwi-Chai)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23권 제2호, 63~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expectedly occurring body and life injuring crimes accompany not only physical and mental pains but also economic damages. Therefore all the systems and supports act for damage recovery should be also focused on the crime victims, however due to the lack of government budget, the shortage of the number of members, and the weakness of the system of the Center, the provider oriented service of only economic support has been done. But to facilitate the damage recovery of the crime victims who have the different individualized desire from that of end user of general social services, the support of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service was necessary. Integrated support victims through the Center for Crime Victims Support activities must be done. But government policy and systemic inefficiency, the imbalance in the budget, such as du-plication of work was the problem. Additionally, many centers of manpower shortages and lack of an adequate system of business development, due to problems facing difficulties. Therefore, of individual improvement measures has put forward to these problems. In order to meet the need of crime victims, Integrated Crime Victims Support System is established for joi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so-cial service resources, prevention of duplicate support, and end user oriented integrated service provide. Integrated Crime Victims Support System through the Center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study of former social service integrated support transfer system. Since there has been no pre-study case of crime victims support service transfer sys-tem, we feel the need of the advices of the experts and the continous study in order to settle down the system stably, and expect our country’s crime victims support poli-cies and service transfer system will be further enhanced than ever before by way of the work of present paper.
목차
Ⅰ. 서언
Ⅱ. 범죄피해자지원의 유형과 현황
Ⅲ. 범죄피해자지원활동의 한계와 그 원인
Ⅳ. 범죄피해자지원시스템의 개선방안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살인피해자 유가족의 경험과 한국형 심리지원 방안모색을 위한 제언
- 형사합의가 양형에 미치는 효과분석: 성폭력을 중심으로
- 관광범죄피해자의 논의를 통한 피해방지 및 지원 방안: 취약성 이론에 근거한 설명을 중심으로
- SNS를 이용한 범죄의 피해실태 및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 필리핀 앙헬레스 한국인의 범죄두려움 관련 요인 연구
- 유럽의 가정폭력범죄 대응정책에 관한 검토
- 재난에 대한 형법적 대응 - 과실범, 추상적 위험범 형식의 형벌규정을 이용한 재난에 대한 형법적 대응의 적정성 검토 -
- 범죄피해자지원시스템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범죄에 대한 두려움: 다수준 상호작용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