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상선 종양에서 c-Met 발현의 임상적 의의
이용수 2
- 영문명
-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c-Met in Thyroid Tumor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노영수(Young Soo Rho) 황준식(Joon Sik Hwang) 김진환(Jin Hwan Kim) 임영한(Young Han Lim) 김승태(Seung Tae Kim) 조성진(Seong Jin Cho)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21권 제1호, 15~2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hepatocyte growth factor(HGF)/c-Met pathway may play various roles in the carcinogenesis of various organs. Although HGF/c-Met signalling pathway has been shown to demonstrate various cellular responses including mitogenic, proliferative, morphogenic and angiogenic activities, the study on their expression related to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in thyroid tumor is relatively rare. So we want to find ou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Met in thyroid tumor.
Materials and Methods: We assess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the c-Met genes by means of RT-PCR method an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in 100 cases of thyroid tumors(50 papillary carcinomas, 10 follicular carcinomas, 20 follicular adenomas, 20 nodular hyperplasia).
Results: By RT-PCR, c-Met mRNA was detected in 43(86%) in papillary carcinoma, 4(40%) in follicular carcinoma, 4(20%) in follicular adenoma and 2(10%) in nodular hyperplasia cases. By immunohistochemistry, c-Met protein expression was detected in 44(88%), 2(20%), 3(15%) and 1(5%). Expression of the c-Met mRNA and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ly recognized in papillary carcinoma. The c-Met protein over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rade of the differenti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et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thyroid papillary cancer progression.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c-Met protein and mRNA suggests that these molecules may be a reliable diagnostic marker in thyroid papillary cancer.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후두에 발생한 평활근육종 1예
- 갑상선 종양에서 c-Met 발현의 임상적 의의
- 내시경 갑상선절제술
- 제 4 새성 기형 1예
- 진행된 이상와암의 광범위 수직인후두부분절제술 후 요전완 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2예
- 두경부암 환자의 대체요법 이용 실태
- 경부와 종격동에 발생한 캐슬만씨 병(Castleman's Disease)
- 중증 근무력증과 동반된 유두상 갑상선암 2예
- 조기(TNM Stage Ⅰ & Ⅱ) 구강 편평세포암종의 초치료 실패
- 설기저부로 전이된 소세포 폐암종 1예
-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발현을 통한 구강 설암의 침윤 기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