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악하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이용수 11
- 영문명
- Clinical Finding of Submandibular Gland Tumor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김동욱(Doog Woog Kim) 양석민(Suk Min Yang) 오성수(Sung Soo Oh)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6권 제2호, 196~20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Submandibular gland tumors is ra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et a clinical feature of submandibular gland tumors and to apply a treatment of submandibular gland tumors of future patients.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18 patients with submandibular gland tumor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PMC), during the period of 8 years from 1992 to 1999.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the incidence, classification, surgical treatment, surgical complication, recurrence and prognosis.
Result :
1) Male to female sex ratio was 1:1.25,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the 5th decade.
2) Benign tumors were 12 cases(66.7%) and malignant tumors were 6 cases(33.3%).
3) Histopathologically, the most common benign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pleomorphic adenoma, and the most malignant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4) In pleomorphic adenoma, excision of submandibular gland was performed in all case(8case). In malignant tumors, excision and supraomohyoid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3cases, and modified-radical neck dissection(RND) was performed in 2cases, and than standard RND was performed in 1case.
5) In the malignant tumor, we choose a radiation therapy as adjuvant therapy.
6) In a surgical complication of submandibular gland tumor, we had a facial nerve injury(1case).
7) Recurrence rate of submandibular gland tumor was 22.2%, and than all case were malignant tumor.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submandibular gland cancer was 50%.
Conclusion: In above results,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is low in benign, but high in malignant tumor of submandibular gland. Surgical procedure should not be aggressive in benign tumor, but should be aggressive in malignant tumor of submandibular gland and an adjuvant radiation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선 이동 통신망에서 QoS 제공을 위한 재할당 기반의 적응적인 자원 할당 기법
-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Thyroidectomy ;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Thyoidectomy Technique
- 적응형 어레이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호 수락제어 알고리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고성능 입력 큐스위치를 위한 통제된 슈도요구 이중화 라운드로빈 매칭 조정 알고리즘
- 안면신경을 보존하며 이하선과 경부청소술 시료를 일괴로 절제하는 방법
- 이하선암의 술후 방사선치료시 방사선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 실패 양상 분석
- 악하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 갑상선 결핵
- 하향링크 MIMO 시스템을 위한 공간분할 다중접속 기술
- 최소침습 갑상선절제술에서 피부절개전 Ketororac과 Bupivacaine 국소주사에 의한 진통효과
- DS-CDMA DMB 하향링크에서의 블라인드 신호공간 채널추정 기법
- 무선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호 접속 제어 알고리듬의 제안 및 평가
- 유두상 갑상선암에서 nm23, Bcl2, Bax 발현도의 임상적 의의
- IEEE 802.11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에서 충돌방지를 위한 동적인 최소 경쟁윈도우의 적용
- WCDMA 하향 링크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PCDR 알고리즘
- 비인강암환자에서 시행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조기 임상결과
- 5GHz 대역 미앤더 형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및 제작
- DS-CDMA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동기획득방식의 성능비교
- 최적 모듈 선택 아키텍쳐 합성을 위한 전력 감소 Force-Directed 스케쥴링
- 갑상선암 환자에서 전절제술 후 I-131 치료에서 미만성 간침착 정도의 분석
- HomePNA 2.0 모뎀 수신부 설계
-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임피던스 계산
- W-CDMA 단말기 수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최소성능 분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
- 다수 사용자 채널을 위한 효율적인 이산 비트 할당 방법
- 후두전적출술 후 장기적인 삶의 질에 대한 평가
- 고성능 병렬 CRC 생성기 설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