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급자 관점에서 본 시니어계층을 위한 셰어하우스 도입 활성화 방안
이용수 421
- 영문명
- Activating Schemes Introducing Share House for the Seni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viders
- 발행기관
- 한국주택학회
- 저자명
- 최지선(Ji Seon Choi) 오동훈(Dong Hoon Oh)
- 간행물 정보
-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3卷 第3號, 89~1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인가구의 증가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가치관의 변화나 가족분화로 인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0년대에 들어 1인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청년 1인가구와 노인 1인가구가 두드러지지만 고령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시니어계층이라 할 수 있는 중장년층과 노인계층의 비율이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고령화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시니어계층의 주거 안정화를 위한 셰어하우스의 도입과 그에 필요한 정책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셰어하우스라는 형태의 주택을 관련 업계 공급자 인터뷰를 통해 시니어계층을 위한 주거대안의 하나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급자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결과 셰어하우스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고, 셰어하우스가 민간주택임대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시니어계층에 셰어하우스 적용 시에는 첫째, 폐쇄적인 노인 성향에 맞는 1인실의 셰어하우스 공급, 둘째, 미혼ㆍ이혼ㆍ기러기 가족 등 중장년층 1인가구와 Age-Mix, 셋째, 식사를 함께하는 프로그램이나 공과금 및 식비에 대한 지원, 넷째, 주거급여를 활용한 임대료 지원, 다섯째, 건강한 시니어만 입주를 허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ue to the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change in human's sense of values,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 has been appeared as a global phenomenon. Even in Korea, one-person households in the 2000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Nowadays the increases in both one-person youth household and one-person elderly household are appeared. However, when entering the aged society, the rises of both the one-person middle-aged and the one-person elderly households in the society will be sh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on the introduction of share house required for housing stabilization for seniors who are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population aging. The share house is targeting the youth now, and the authors focused on the current share house as one of the housing options for seniors by interviewing housing-related providers. The providers' standpoint on share house are positive, and they thought that it enable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private housing rental market. For doing so, active governmental supports are needed. The presente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hares house for the seniors are as followed: first, the supply of a single-room share house for the elderly whose character is generally closed; second, age-mix with one-person elderly households and one-person middle-aged households including unmarried, divorced, and goose family; third, a communal meal program and supports for utility bill and/or food; fourth, rent support utilizing housing voucher; fifth, a scheme only healthy seniors are permitted to live.
목차
Ⅰ. 서론
Ⅱ. 셰어하우스 개념 및 역할
Ⅲ. 민간과 공공의 셰어하우스의 사례
Ⅳ. 셰어하우스 공급자 의견 분석 및 셰어하우스 도입 정책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