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화정책의 주택시장 파급경로 연구

이용수  335

영문명
The housing market and the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mechanism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이태리(Ta Ly I) 송인호(In Ho Song)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3卷 第3號, 31~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론 모형의 설정과 해석을 통해 주택시장을 실물경기 및 금융 전반에 영향을 주고받는 주요 원동력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주택시장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통화정책의 충격과 이에 반응하는 주택시장과 경제 전반의 관계를 거시적 시각에서 검토했다. 또한, 주택시장을 지역별, 주택유형별로 세분화한 단일 모형을 구축하여 같은 틀 안에서 대상이 되는 많은 관심 변수들에 대한 영향을 추정하는 과정을 통해 미시적 주택시장으로의 통화정책 파급경로를 분석했다. 이론적 모형에서 기간간예산제약식에 따르면, 금리는 미래의 기대주택가격에는 일종의 할인율로 연결되고 현재의 주택가격에는 순자산을 결정하는 데에 연결되어, 금리가 낮을수록 기대주택가격을 높이고 현재의 순자산을 증가시켜, 결국에는 주택수요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주택가격의 상승은 주택가격의 부의 효과(wealth effect)로 작용하여 결국 소비의 증가를 가져온다. 주택가격에 의한 소비의 증가가 결국 경기변동과 연계되어 명목금리의 변동을 가져오는 요소로 작동한다. 이러한 금리하락은 주택가격과 전세가격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비용 상승으로 인하여 전세가격은 하락한다. 동적일반화최소자승법(DOLS)과 요인활용다변수자기회귀모형(FAVAR)를 이용한 실증분석에서도 금리상승충격에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전국적으로 또는 주택유형별로 모두 하락하는 반응이 나타남으로써 이러한 사실은 실제 데이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cognizes the housing market as a key factor that interacts with the real economy. Based on this recognition, i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tary policy and the real economy. For this purpose it constructs a single housing market model with subcategories of regions and housing types. Then it estimates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numerous macro-variables and analyzes the spillover channel of monetary policy. In a theoretical model the inter-temporal budget constraint shows that interest rates are linked to future house prices and current house prices. The lower the interest rates are, the higher the expected house price rises and the larger the current net asset grows. Meanwhile, the rise in house price causes a wealth effect.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DOLS(dynamic ordinary least square) and FAVAR (factor-augmented vector auto-regression) model finds that a shock of interest rate rise causes both of house prices and Jeonse prices to drop nationwide as well as in all housing types. When interest rates rise, Chonsei prices declin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
Ⅲ. 통화정책의 주택시장 파급경로 추정
Ⅳ.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리(Ta Ly I),송인호(In Ho Song). (2015).통화정책의 주택시장 파급경로 연구. 주택연구, 23 (3), 31-62

MLA

이태리(Ta Ly I),송인호(In Ho Song). "통화정책의 주택시장 파급경로 연구." 주택연구, 23.3(2015): 3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