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상선수술후의 저칼슘혈증
이용수 18
- 영문명
- Postthyroidectomy Hypocalcemia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최대화(Daeh Wa Choi) 김규열(Kyu Yul Kim) 고병균(Byung Kyun Ko) 남창우(Chang Woo Nam) 유화경(Hwa Kyung Yu) 조홍래(Hong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5권 제1호, 52~6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For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ransient and permanent hypocalcemia, we focused on a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ment and an interval of normalization in serum hypocalcemic level and studied for the causes of postoperative hypocalcemia.
Material and Method: Postthyroidectomy hypocalcemia was studied in 193 patients who were admitted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8 and underwent lobectomy, subtotal thyroidectomy or total thyroidectomy. We compared postoperative serum calcium, phosphate and ionized calcium levels among three groups which were lobectomy, subtotal thyroidectomy and total thyroidectomy, respectively.
Result: All patients revealed postoperative decline in serum calcium and ionized calcium, especially, the lowest serum calcium level was seen in 48 hours after surgery. Serum calcium level was returned to normal in five to six postoperative days in most patients. But 24 patients required calcium supplementation due to symptomatic hypocalcemia.
In this series, we discovered that the important period for monitoring of serum calcium level was 24 to 96 hours after surgery. If the calcium replacement therapy was not required in the first 72 hours after surgery, it would not be needed during the remainder of the patient's hospital course. Symptomatic transient hypocalcemia was 22 cases(11.4%) and permanent hypocalcemia was 2 cases(1%).
Conclusion : We found that hypoalbuminemia, preoperative hyperthyroidism and impairment of blood supply to parathyroid were the main causes of postthyroidectomy hypocalcemia. We also thought that the interval from initial medication to normalization in serum calcium level, and the increase of requirement in calcium and vitamin D were the important factors for differentiation between transient and permanent hypocalcemia.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갑상선수술후의 저칼슘혈증
- 두개내에서 발생하여 두개외로 연장된 설하신경초종 1례
- 후두 및 하인두 편평세포암종의 경부 잠재전이율
- 두경부 골수외 형질세포종의 임상적 고찰
- 거대한 단발성 측경부 종물로 나타난 전이성 갑상선암 1례
- 갑상선 선종을 동반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1예
- 급성 췌장염으로 발현된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1예
- 갑상선 결절의 Ki67과 p27 발현도에 대한 분석
- 유두상 갑상선암의 수술후 재발예측인자로서 혈청 Thyroid Peroxidase의 의의
- Waldeyer's Ring 비호치킨 림프종의 병합요법
- 편도암의 수술적용 형태에 따른 치료효과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측두아래오목과 날개구개오목 절제의 의의
- 갑상선 암의 판정에 대한 술전 초음파의 의의
-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경부림프절 전이의 분포에 관한 고찰
- 그레이브스병의 갑상선 절제술후 합병증
-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갑상선 결절의 임상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제43권 제3호 목차
- Is there a role of radiotherapy for steroid-resistant thyroid eye disease?
- Technique and outcomes of high-dose-rate interstitial brachytherapy for lip and buccal mucosa cancer: emphasis on cosmetic res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