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측두아래오목과 날개구개오목 절제의 의의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Pterygopalatine Fossa and Infratemporal Fossa Dissect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Maxillary Squamous Cell Carcinoma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최재영(Jae Young Choi) 김동영(Dong Young Kim) 윤주헌(Joo Heon Yoon) 최은창(Eun Chang Choi)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5권 제1호, 40~4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Maxillary cancer is notorious for its poor prognosis because it is usually detected lately and the majority of patients have advanced disease. Especially when the cancer extended to infratemporal fossa or pterygopalatine fossa it is very difficult to remove all the involved structure by conventional maxillectomy. In these cases we have used radical maxillectomy through lateral approach. We tried to figure ou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procedure.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23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cure. Among them 17 patients(group A) were treated with initial surgery and 6 patients(group B) underwent salvage surgery after radiotherpy. Radical maxillectomy was performed in 12 patients and conventional total maxillectomy in 11 patients.
Results: In group A, 3 out of 9 total maxillectomy case and none of 8 radical maxillectomy case were recurred. In group B one patient died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among the other 5 patients only one out of 3 radical maxillectomy was salvaged and 2 total maxillectomy cases were died of intercurrent disease.
Conclusion: Wide surgical dissection of pterygopalatine fossa and infratemporal fossa may improve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posterior wall invasion of maxillary sinus.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갑상선수술후의 저칼슘혈증
- 두개내에서 발생하여 두개외로 연장된 설하신경초종 1례
- 후두 및 하인두 편평세포암종의 경부 잠재전이율
- 두경부 골수외 형질세포종의 임상적 고찰
- 거대한 단발성 측경부 종물로 나타난 전이성 갑상선암 1례
- 갑상선 선종을 동반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1예
- 급성 췌장염으로 발현된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1예
- 갑상선 결절의 Ki67과 p27 발현도에 대한 분석
- 유두상 갑상선암의 수술후 재발예측인자로서 혈청 Thyroid Peroxidase의 의의
- Waldeyer's Ring 비호치킨 림프종의 병합요법
- 편도암의 수술적용 형태에 따른 치료효과
- 상악동 편평세포암종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측두아래오목과 날개구개오목 절제의 의의
- 갑상선 암의 판정에 대한 술전 초음파의 의의
-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경부림프절 전이의 분포에 관한 고찰
- 그레이브스병의 갑상선 절제술후 합병증
-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갑상선 결절의 임상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제43권 제3호 목차
- Is there a role of radiotherapy for steroid-resistant thyroid eye disease?
- Technique and outcomes of high-dose-rate interstitial brachytherapy for lip and buccal mucosa cancer: emphasis on cosmetic res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