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수”모티브를 통해 본 『霍小玉傳』의 “雅”와 “俗”
이용수 176
- 영문명
- On Popularity and Elegance in Tang-Chuan-Qi, Huo-Xiao-Yu-Zhuan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성윤숙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19집, 115~1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唐傳奇是文人的創作, 所以타在一定程度上體現了文人的審美觀念和道德意識, 滿足的是文人的欣賞口味, 從這一角度上來說, 唐傳奇是典雅的, 但從령一角度來看, 唐傳奇在發展過程中又不斷接受來自民間文學的影響, 령外隨著타的受衆的範圍的擴大, 對普通民衆欣賞口味的迎合也逐漸體現出來, 所以在唐傳奇中通俗性的因素也逐漸體現出來。 這種典雅與通俗文化的融合, 始終是唐傳奇的一個發展潮流, 幷推動了中國小說從唐代經宋元明淸直到現代社會發展成爲符合大衆口味的一種文學體裁。 本論文選取一篇較有代表性的作品《霍小玉傳》, 進行分析, 希望能구見微知著, 展現典雅與通俗在唐傳奇中融合交流的一些特點, 探討通俗性的한入對中國古代小說發展的影響。
목차
一. 서언
二. 현대중국문학비평가들의 관점에서 본 중국 전통의 “雅” “俗” 개념과 그 변화 추이
三. 서사형식상의 특징을 통해 본 <곽小玉傳> 의 “雅性”
四. “복수” 모티브를 통해 표출된 <곽小玉傳> 의 주제의식과 “俗性”
五. 結語
<參考文獻>
<中文 提要>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精巧競前 : 李昌祺《剪燈餘話》的摹擬之文與競勝之心
- 淸末民初 韓國 관련 小說 硏究(2)
- “世故人情, 畢現尺幅”
- <論評文>
- 明ㆍ淸代 白蛇 계열의 작품에 대한 재검토
- 중국 전통미학과 京派소설
- 新時期文學中的“現代派”思潮
- 話本小說 속 여성 인물을 통해 살펴본 明代 사회의 女性性의 범주
- 『雪月梅傳』의 장르적 傳統과 英雄小說的 性格
- 明代 白話 公案小說에 나타난 「淸官現象」의 문화적 특징
- ‘한국’소재 中國 近代小說 속의 韓國 認識과 時代 思惟
- 論『山海經』神話中的死亡觀
- “복수”모티브를 통해 본 『霍小玉傳』의 “雅”와 “俗”
- 明代中期色情小說流水式結構模式及其成因
- 明淸小說에 나타난 科學文化
- 악녀, 숙녀 그리고 俠女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