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정규직 인식 이집 단조의직 몰사입회에구 조미적치 는상 황영에향 대한
이용수 1,052
- 영문명
- The Effects of Perceived Intergroup Social Structural Contex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ntingent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이명주(Myeong ju Lee) 조봉순(Bong soon Cho)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3권 제3호, 131~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전체 노동 인구에서 비정규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비정규직근로에 대한 학술적 연구도 증가하고 있는데, 많은 기존 연구들은 주로 거시적, 제도적 관점에서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 관점에서 비정규직 근로자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행동을 살펴보고 있다. 사회정체성 이론에서는 낮은 지위의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개인은 부정적 사회정체성을 경험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방향과 강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자신이 소속된 집단의 사회구조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구조적 상황에 대한 인식은 이동가능성, 지위 정당성, 그리고 지위고착성으로 설명된다. 비정규직 상황에서 이동가능성은 소속회사에서 정규직으로 전환가능성에 대한 지각, 지위 정당성은 조직 내에서 비정규직 지위 및 처우에 대한 정당성 지각, 그리고 지위 고착성은 비정규직 지위가 향후 사회적 및 경제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각을 말한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사회구조적 특성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상호작용을 통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0년 한국 노동패널 제13차 데이터의 비정규직 근로자 32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정체성 이론에서 제시하는 사회구조적 상황인 이동가능성, 지위 정당성, 그리고 지위 고착성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 조직에서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이동가능성을 높게(β = .097, p < .10), 지위 정당성을 높게(β = .126, p <.05), 그리고 지위고착성을 낮게(β = -.195, p < .01) 지각하는 비정규직 근로자일수록 높은 조직몰입을 보였다. 가설과는 달리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factors that may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ntingent workers, which previous studies have produced mixed findings. We argue that contingent workers' perception of social structural contexts can help explaining such inconsistency in research findings. Social identity theory (SIT) suggests that an individual's self-concept is shaped through his or her social identity. In association with our research problem, SIT provides the important prediction that the perceived social structural contexts of an organization's low-status members influence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individuals who belong to a low-status group will experience a negative social identity and will make efforts to improve their identities positively.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such efforts are determined by perceived social structural contexts, status legitimacy, and status stability.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contingent workers who perceive high on group permeability and status legitimacy, and low on status stability would show organizational commitment strongly. To test our research predictions, we used the 13th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urvey (N = 323).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oup permeability, status legitimacy, and status stability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determ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s were not significant.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structural contexts to predict contingent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stud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