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장에서 무례한 언동의 경험과 인상관리행동
이용수 1,998
- 영문명
- Workplace Incivil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What is the Relationship and Does Workplace Inauthenticity Play a Role?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강대석(Dae seok Kang) 원소정(So jung Won)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3권 제3호, 109~1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체로 강도가 미약하고 그 의도 파악이 어려운 무례한 언동 경험에 따른 개인의 반응을 설명하고자 했다. 즉 상사나 동료의 무례한 언동과 그 피해자의 인상관리 모티브 사이에서 조직 내 가식의 완전 또는 부분 매개를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 분야를 확장시키는 것이 바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표본은 수도권에 위치한 6개의 철도관련 공기업에 근무하는 276명의 현장사무직 종업원들로부터 획득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결과 자기 피알, 간청 등의 인상관리행동에는 직장 내 무례한 언동의 직접효과뿐 아니라 조직 내 가식을 통한 간접효과도 유의한 부분매개를 입증한 반면, 모범보이기 행동에 대해서는 가식을 통한 간접 효과만을 드러냄으로써 완전매개를 나타냈다. 이 밖에 비위맞추기 행동과 관련해서는 직ㆍ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가식에 관한 부정적인 결과 위주의 편향된 연구들을 확장할 뿐 아니라 건전한 조직문화 개발과 리더십 프로그램, 선발시스템과 같은 조직 내 통제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Even though incivility in public discussion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phenomenon of workplace incivility is generally not well understood and accordingly not recognized as an issue need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and their experience of workplace incivility, i.e., low intensity deviant behavior with ambiguous intent to harm the target in violation of workplace norms for mutual respect. We proposed that workplace incivility relates positively with the strategies of impression management (e.g., ingratiation, self-promotion, exemplification, and supplication), along with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in the relationships.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76 railroad workers in South Korea. Railroad workers present an exemplary case to study our research questions due to their unique working form and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making them vulnerable to incivil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showed that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incivility and self-promotion, as well as supplication, but exemplification is ful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In sum, this evidence addresses an important gap in the workplace incivility literature by providing evidence for an indirect/direct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and incivility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연구와 가설 개발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