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rey씨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서 Thermography의 유용성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Thermography in Diagnosis of Frey’s Syndrome Following Parotidectomy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김현수(Hyun Su Kim) 박범정(Bum Jung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23권 제2호, 142~14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and Backgrounds :After parotidectomy, some of patients complain gustatory sweating, facial flu-shing and discomfort in the same area. A series of these symptoms are supposed to be caused by the aberrant regeneration of the secretory parasympathetic fibers to sweat glands and blood vessels of the skin following parotidectomy. In this study, we want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rmography to the Minor’s starch-iodine tes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Frey’s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48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or superficial parotidectomy from March 2002 to December 2004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 subjective clinical questionnaire and the objective Minor’s starch-iodine te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this syndrome. Total 21 patients were confirmed as positive Frey’s syndrome and infrared thermography was performed for them.
Result :Frey’s syndrome occurred in 21 patients(43.8%). The average temperature of parotidectomy site and normal opposite area were 27.65℃ and 26.41℃ respectively. Thermography showed temperature differ-ence in 20 patient(95.2%) an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1.0℃(p<0.001).
The severity of symptoms were related with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p<0.05).
Conclusion :Thermography is useful, non-invasive, simple and quantifying method to diagnose Frey’s syn-drome. Additionally, this geographic diagnosis is available to show the accurate area for botulinum toxin injection.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인두 종괴로 오인된 내경동맥 사행 1예
- 만성 악하선염으로 오인된 Kimura씨 병 1례
- Frey씨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서 Thermography의 유용성
- 하인두암의 보존적 수술과 경부 재발의 술중방사선치료 치험 1예
- 두경부에 발생한 육종의 임상적 고찰
- 후두에 발생한 혈관평활근종 1예
-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동반된 갑상선 림프종 1예
- 혀의 우측 측부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 부갑상선 종양의 치험 6례
- 이하선에 발생한 비호지킨스 림프종 1예
- 외이도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 구개편도에서 발생한 MALT 림프종 1례
- 갑상선 편측형성부전에 동반된 유두 갑상선암 1예
- A Case of Sebaceous Adenoma in Medial Caruncle of the Eye
-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암 등록 사업의 해결 방안
- 고분화성 갑상선 암종의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 분석
- 혈액 투석을 받는 두경부암 환자의 동시화학방사선요법에서 Cisplatin의 약력학 조사 1예
-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에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의 발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