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제정의와 기독교

이용수  414

영문명
Justice of Economy and Christianity
발행기관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저자명
김영한(Yung Han Kim)
간행물 정보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제3호, 11~3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24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은 경제서는 아니나 하나님이 그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주신 바른 삶의 규범과 지침서로서 토지와 노동에 관한 기본적인 윤리적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예수님도 물질이나 부 자체를 반대하신 것이 아니라 그것에 탐욕으로 집착하는것을 반대하셨다. 그는 구제와 나눔을 가르치셨다. 오늘날 자본주의가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자유방임 시장경제는 자본가의 탐욕과 정경유착에 의하여 부정 부패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윤창출과 효율극대화를 중시하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에서 경쟁과 자선을 동시에 지향하는 창조적 자본주의(Creative Capitalism)로 옮겨가고 있다.창조적 자본주의란 기업활동을 통해 돈도 벌고 자선사업도 벌이는 것을 말한다. 빈부의 양극화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법이 개념이 공생발전 개념이다. 나눔 경영, 사회적 기업도 새로운 자본주의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자본주의는 개인의 이윤과 부의 창출보다는 공동체의 유익을 중시하는 공동체 자본주의이다. 이는 자발적인 기부에 의한 나눔의 문화, 즉 기빙백(Giving Back) 문화를 활성화 시킨다. 기빙백 문화는 주면 돌아온다는 진리를 생활화 하는 것이다. 경제적 정의에 대한 기독교적 이념은 창조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다. 전자는 배분적 정의를 넘어서는 정의며, 후자는 불의한 사회를 싸매는 정의다. 경제 정의에 대한 기독교의 역할은 사회적 성화에 의한 경제 정의 각성, 경제적 약자와 소외자들의 보호처와 상승사다리 역할, 물질주의와 인간 탐욕에 대한 비판정신 함양, 디아코니아 사업에 헌신, 신자 개인들의 일상적인 삶에서 경제적 정의를 실천이다.

영문 초록

Old Testament and New Testment, though not a textbook of economy, suggest as books of norm and guidance for right life in which God gave to his people Israel a basic ethical guidance on land and labor. Jesus did not oppose to materials and riches themselves, but oppose to be attached to greeds in them, teaching relief and sharing. Capitalism today has been moving into a new form. A liberal market economy has disclosed its limitation due to the injustice and corruption arising from greeds of capitalist and a corrupt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nd business circles. We have been moving from new liberal capitalism to creative capitalism. Creative capitalism means earning money and doing charitable work. Symbiotic development is a proper way of solving the polarization between rich and poor. Sharing management and social enterprise are the concepts indicating a new capitalism. Such a capitalism is a communal capitalism considering as important the benefits of community rather than producing individual profit and riches. It vitalizes a Giving Back culture, a culture of sharing by voluntary contribution.

목차

한글초록
머리말
Ⅰ. 사회적 자본주의의 이념적 토대로서의 기독교경제 사상
Ⅱ. 자유방임 시장경제의 한계; 탐욕과 부정부패
Ⅲ. 사회적 자본주의 이념
Ⅳ. 경제적 정의에 대한 기독교적 이념: 창조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
Ⅴ. 경제 정의에 대한 기독교의 역할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한(Yung Han Kim). (2012).경제정의와 기독교.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3), 11-39

MLA

김영한(Yung Han Kim). "경제정의와 기독교."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3(2012): 1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