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licy Plan to Promot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cientific Data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양승우(Yang, seung woo)
- 간행물 정보
- 『과학기술과 법』제6권 제1호, 39~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scientific data, the vanguard in the era of informatics science, can function as a verification tool for research outcomes and enhance productivity of R&D from reuse of yielded scientific data, related policies are being discussed. Supervision and utilization system of scientific data is drawing attention for the importance of ‘Big data’ and the shift in paradigm of research. Legislation authorities consider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cientific data play important roles in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now on the phase of enacting related supervision policies. Despite that other countries are attempting legal approaches on a
national level for systematic supervision of scientific data, Korea lacks supplementary supervision strategies of scientific data on a national level. Korea only provides scientific data in forms of bibliography, statistic, etc. in regard to distribution & utilization system of scientific data, and the failure of incentive system in supervising and publicizing scientific data is implicated as the primary reason behind impeding development of distribution & utilization system of scientific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general environment and legal issues i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cientific data related to national R&D program, or in other words, ⅰ) Government 3.0 and distribution & utilization policy of scientific data, ⅱ) issues in disclosure of scientific data related to Copyright Act and Public Data Act, and ⅲ) relation between distribution & utilization of scientific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were analyzed. Based on my analysis, policy alternatives for distribution & utilization of scientific data, that is, ⅰ) clarification of scientific data for registration and donation and its coordination with incentive system, ⅱ) shifting focus of strategy from scientific data supervision to utilization, ⅲ) coordination between research field and publication system when constructing repository for scientific data, and ⅳ) revision to facilitate distribution & utilization of scientific data are each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과학데이터의 관리체계 현황
Ⅲ. 과학데이터의 공유·활용 관련 법적 쟁점
Ⅳ. 과학데이터 공유·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대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스페인]검찰의 구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한 판결에 대한 재판소원–헌법소원의 적법요건으로서 ‘특별한 헌법적 중요성’
- [미국]차별사건에서 다수집단에 속하는 청구인에게 추가적인 입증책임이 부과되는지 여부
- [독일]독일 내 미군기지에 예멘 공격 드론을 배치한 것이 예멘인에 대한 독일의 기본권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