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Early Topical Steroid Treatment after Trans-Epithelial PRK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욱겸 조은영 김희선 김진국,Wook Kyum Kim, MD,, Eun Young Cho, MD, Hee Sun Kim, MD, Jin Kuk Kim,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4, 574~58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early topical steroid treatment on corneal epithelium healing and postoperative corneal haziness after trans-epithelial photorefractive keratectomy (Trans PRK). Methods: A total of 400 eyes from 200 patients who received Trans PRK with the Schwind Amaris laser platform (SCHWIND eye-tech solutions, Kleinostheim, Germany)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In 200 eyes (100 patients, early treated group) topical steroid was used from operation day but in the other 200 eyes (100 patients, late treated group) topical steroid was not used until therapeutic contact lenses were removed. The epithelial healing time, corneal haziness and visual acuity at postoperative 3, and 6 month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The therapeutic contact lenses could be removed at postoperative 3.50 ± 1.46 days and 3.14 ± 0.50 days in the early treated group and late treated group, respectively (p < 0.01). Breakdown of the epithelium after removal of therapeutic contact lenses occurred in 8 eyes, which were all in the early treated group. The difference of the visual acuity at postoperative 3 and 6 months between the 2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corneal opacity developed in 12 eyes (6%) in the late treated group and 2 eyes (1%) in the early treated group (p = 0.01). Conclusions: Early treatment with topical steroid can delay corneal epithelial healing, especially the attachment of epithelium to stroma. However, the treatment can reduce the prevalence of corneal opacity after Trans PRK.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약물에 의한 동공 확장이 안구, 각막 및 안내 수차에 미치는 영향
- 눈꺼풀에 발생한 에크린 관암 1예
- 양안 공막 유리질 침착 1예
- 이식편대숙주질환과 관련된 건성안 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A과 제대혈청 병합치료의 효과
- 겔솔린형 격자 각막 이영양증 1예
- 실리콘기름주입술을 동반한 유리체절제술 시행 후 지연 폐쇄된 황반원공 1예
-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 조기 사용이 미치는 영향
- 미세각막절개 백내장 수술 후 낭내 삽입한 일체형 비구면 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 의안을 착용하는 무안구증환자에서 증상 유무에 따른 결막낭 세균배양양성률 및 분포양상
- 신생아에서 발견된 안검 유착증 1예
- 원시굴절부등을 동반한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 저밀도 내피세포 환자의 백내장 수술 후 장기 임상결과
- 안면부 외상 후 발생한 양측 패혈성 해면정맥동 혈전증 1예
- 한국인에서 연령 및 체질량지수에 따른 윗눈꺼풀 지방의 변화의 분석
- 전기 화상 이후 발생한 시신경 병증을 동반한 단안백내장
- Scedosporium apiospermum에 의한 진균각막염 1예
- 상사근 마비의 임상 양상과 자연 경과
-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시 코패킹 물질로 사용한 Nasopore;의 임상적 결과
- 60세 이상과 60세 미만의 눈대상포진 환자에서 임상양상의 비교
- 일산화질소가 섬유주세포의 유착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
- 당뇨망막병증 및 당뇨황반부종환자에서의 중증도에 따른 전방수내 사이토카인 상관관계 분석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및 실리콘관삽입술 후 발생한 형광균 감염 1예
- 노출된 다공성 안와 삽입물에서 공여 부위에 따른 자가 진피지방 이식술의 치료 결과
- 눈꺼풀에 발생한 림프종모양 구진증 1예
-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의 치료 후 시력 예후와 관련된 예측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