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Upper Eyelid Fat Pad Changes with Aging and Body Mass Index in Korea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안재문 이화 김정완 장민욱 이태수 백세현,Jae Moon Ahn, MD, Hwa Lee, MD, Jung Wan Kim, MD, Min Wook Jang, MD,Tae Soo Lee, MD, PhD, Se Hyun Baek,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4, 562~56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differential changes in the central and nasal fat pads of the upper eyelid associated with aging and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in Koreans. Methods: Using a standardized scale, the volume grade of the central and nasal fat pads was graded from 0 to 3 (0 for depressed, 1 for flat, 2 for mildly protruded, and 3 for markedly protruded) in normal adults, consisting of 20 males and 20 females from 30 years of age to 80 years of age. The body mass index was calculated for every patient through interviews using their height and weight. Statistical evaluations correlating age and body mass index with central and nasal fat pad changes were performed. Statistical evaluations correlating age with fat pad changes except for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were performed. Results: Except for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the central fat pad increased (r = -0.176, p = 0.007) and nasal fat pad decreased (r = 0.252, p < 0.001) with aging,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With aging, the central fat pad increases and nasal fat pad decreases in the upper eyelid. Clinically, this finding has implications in cosmetic and functional upper eyelid blepharoplasty. In addition, the results may be useful to determine whether to conserve or remove the fat as well as the amount of fat removal during upper blepharoplas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약물에 의한 동공 확장이 안구, 각막 및 안내 수차에 미치는 영향
- 눈꺼풀에 발생한 에크린 관암 1예
- 양안 공막 유리질 침착 1예
- 이식편대숙주질환과 관련된 건성안 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A과 제대혈청 병합치료의 효과
- 겔솔린형 격자 각막 이영양증 1예
- 실리콘기름주입술을 동반한 유리체절제술 시행 후 지연 폐쇄된 황반원공 1예
-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 조기 사용이 미치는 영향
- 미세각막절개 백내장 수술 후 낭내 삽입한 일체형 비구면 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 의안을 착용하는 무안구증환자에서 증상 유무에 따른 결막낭 세균배양양성률 및 분포양상
- 신생아에서 발견된 안검 유착증 1예
- 원시굴절부등을 동반한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 저밀도 내피세포 환자의 백내장 수술 후 장기 임상결과
- 안면부 외상 후 발생한 양측 패혈성 해면정맥동 혈전증 1예
- 한국인에서 연령 및 체질량지수에 따른 윗눈꺼풀 지방의 변화의 분석
- 전기 화상 이후 발생한 시신경 병증을 동반한 단안백내장
- Scedosporium apiospermum에 의한 진균각막염 1예
- 상사근 마비의 임상 양상과 자연 경과
-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시 코패킹 물질로 사용한 Nasopore;의 임상적 결과
- 60세 이상과 60세 미만의 눈대상포진 환자에서 임상양상의 비교
- 일산화질소가 섬유주세포의 유착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
- 당뇨망막병증 및 당뇨황반부종환자에서의 중증도에 따른 전방수내 사이토카인 상관관계 분석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및 실리콘관삽입술 후 발생한 형광균 감염 1예
- 노출된 다공성 안와 삽입물에서 공여 부위에 따른 자가 진피지방 이식술의 치료 결과
- 눈꺼풀에 발생한 림프종모양 구진증 1예
-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의 치료 후 시력 예후와 관련된 예측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