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신경교차손상을 동반한 외상성 안구탈출
이용수 10
- 영문명
- Traumatic Eyeball Protrusion with Optic Chiasmal Inju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상미 장기철 장무환,Sang Mi Lee, MD, Ki Cheol Chang, MD, Moo Hwan Chang,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6, 759~76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eyeball protrusion with optic chiasmal injury due to eyeball trauma. Case summary: A 59-year-old male presented to the emergency room for right eyeball pain, eyeball protrusion and decreased visual acuity after collision with a metal pipe. On initial examination, the right eyeball was protruded, the patient could not perceive light, his pupil was dilated and did not respond to the light. The patient had a laceration of the lower canaliculi and the medial, superior and inferior rectus muscles were separated from the eyeball. Abnormal left pupil response was observed, and visual acuity of the left eye was 0.7. He underwent primary repair of the right medial, inferior and superior rectus muscles and reconstruction of the lower canaliculi. Because the visual field of the left eye at post-operative day 1 demonstrated temporal hemianopsia, an optic chiasmal injury was revealed o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patient underwent left optic chiasmal decompression because the visual field was aggravated despite the immediate high dose of corticosteroid therapy. At post-operative 2 months, the patient’s left visual acuity was 0.3 and the visual field was stable. Conclusions: Optic chiasmal injury should be considered and promptly diagnosed through visual field test and MRI when ipsilateral optic nerve injury with abnormal contralateral pupil response is caused by eyeball protrusion. Optic chiasmal decom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raumatic optic nerve and chiasmal injuries do not respond to high-dose corticosteroid therapy.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6):759-765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유두와 맥락망막결손이 동반된 루빈스타인-테이비 증후군 1예
-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독성 전방 증후군
-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전의 예방적 안압강하제의 효과
-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마이토마이신 노출 시간에 따른 공막 표면 콜라젠의 변화 관찰
- 범맥락막위축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에 대한 유리체강내 아바스틴 치험 1예
- 건성안 환자의 눈물 내 케모카인 리간드 5의 농도 분석
- 안와골절정복술 시 사용된 에피네프린이 동공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부지법 후 발생한 안와 연조직염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추가요법의 효과
- 맥파 속도와 상완-발목 지수의 조기연령관련 황반변성 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
- 폐쇄각 환자에서 주변홍채절개술 후 안압의 재상승
- 안와에 발생한 고립성 편평세포암종 1예
- 시야 결손이 있는 뇌하수체샘종 환자에서 수술 후 시야 변화
-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 이식술의 장기 임상경과
- 중심시야 결손 여부에 따른 녹내장시야지표의 유용성
-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발생한 비동맥염성 앞허혈성시신경병증 1예
- 시신경교차손상을 동반한 외상성 안구탈출
- 94세 노인에서 발생한 자발성 안구 파열
- 기질적 안질환이 있는 소아 및 청소년에서의 사시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알코올을 이용한 라섹 수술에서 각막상피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전방 인공수정체의 제거 없이 시행한 아메드 녹내장 밸브 삽입술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