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맥락막위축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에 대한 유리체강내 아바스틴 치험 1예
이용수 3
- 영문명
- Regression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a Choroideremia Patient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 Case Repor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덕배 정무오 조성원 최광주 김대현,Deok Bae Kim, MD, Mu O Jung, MD, Sung Won Cho, MD, PhD, Gwang Ju Choi, MD, PhD, Dae Hyun Kim,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6, 742~745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the first domestic case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a choroideremia patient treated with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Case summary: A 29-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sudden decline in vision in the left eye. Fundus examination revealed areas of choriocapillaries and retinal pigment epithelium atrophy with macular hemorrhage. Fluorescein angiogram revealed vascular hyperfluorescence in the juxtafoveal area. Neurosensory detachment around the macula and increased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also observed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pon the diagnosis of choroideremia with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1.25 mg intravitreal bevacizumab. Visual acuity improved after four injections of intravitreal Bevacizumab with improvement in both detachment and fluorescein leakage.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horoideremia presenting sudden decline in vision, ophthalmologists should detect for possible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how that judicious use of intravitreal Bevacizumab may be effective in such cases. Further studies with a large sample size and sufficiently long follow-up periods are requir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6):742-745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유두와 맥락망막결손이 동반된 루빈스타인-테이비 증후군 1예
-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독성 전방 증후군
-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전의 예방적 안압강하제의 효과
-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마이토마이신 노출 시간에 따른 공막 표면 콜라젠의 변화 관찰
- 범맥락막위축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에 대한 유리체강내 아바스틴 치험 1예
- 건성안 환자의 눈물 내 케모카인 리간드 5의 농도 분석
- 안와골절정복술 시 사용된 에피네프린이 동공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부지법 후 발생한 안와 연조직염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추가요법의 효과
- 맥파 속도와 상완-발목 지수의 조기연령관련 황반변성 예측인자로서의 유용성
- 폐쇄각 환자에서 주변홍채절개술 후 안압의 재상승
- 안와에 발생한 고립성 편평세포암종 1예
- 시야 결손이 있는 뇌하수체샘종 환자에서 수술 후 시야 변화
-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 이식술의 장기 임상경과
- 중심시야 결손 여부에 따른 녹내장시야지표의 유용성
-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발생한 비동맥염성 앞허혈성시신경병증 1예
- 시신경교차손상을 동반한 외상성 안구탈출
- 94세 노인에서 발생한 자발성 안구 파열
- 기질적 안질환이 있는 소아 및 청소년에서의 사시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알코올을 이용한 라섹 수술에서 각막상피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전방 인공수정체의 제거 없이 시행한 아메드 녹내장 밸브 삽입술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