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포각막병증에서 양막 이식술의 효용성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icacy of Amniotic Membrane Graft in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Bullous Kerat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정현 정진욱 위원량 이진학 김미금 이재림,Jung Hyun Park, M.D., Jin Wook Jeoung, M.D., Won Ryang Wee, M.D., Ph.D.,, Jin Hak Lee, M.D. Ph.D.,, Mee Kum Kim, M.D., Ph.D.,, Jae Lim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8, 1036~104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mniotic membrane (AM) transplantation in symptomatic bullous keratopathy using cryo-preserved or lyophilized AM. Methods: Eight bullous keratopathic patients, who experienced intractable pain despite medi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a therapeutic lens, underwent permanent AM transplantation with 5 cryo-preserved and 3 lyophilized AMs following removal of epithelium using a trephine. The time to re-epithelization and the subsidence of pain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Mean follow-up was 252±171.0 days. Pain relief and re-epithelization were obtained in all eight patients. The times to complete relief of pain was 32.2±22.7 days in patients with cryo-preserved AM transplantations (n=5) and 22.0±18.0 days in those with lyophilized AM transplantations (n=3) (p=0.549, Mann-Whitney U test). Respective times to re-epithelization were 25.4±20.7 days and 23.0±25.2 days (p=0.29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meter of transplanted AMs between the two groups (7.6±0.2 vs. 7.3±0.3 mm, p=0.172). Conclusions: Permanent AM transplantation effectively reduced the intractable pain caused by epithelial bulla. Whether the AM was cryo-preserved or lyophilized did not affect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급속히 자연 퇴행한 양안 안와 가성종양
- 수포각막병증에서 양막 이식술의 효용성
- 원발개방각녹내장에서 중심각막두께와 시야손상의 관계
- 공막두르기 시행 후 발생한 안허혈 2예
- 펨토초 레이저와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근시교정수술에서 임상성적 비교
- 소아 안성형 환자 보호자의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 실험적 포도막염에서 종양괴사인자 단일세포군항체의 치료 효과
- 도시 초등학교 4학년의 굴절 이상과 안 계측치 변화
- 특발성 황반전막 수술 시 내경계막 제거의 효과
- 주파수 배가 시야검사계를 사용한 녹내장 및 녹내장 의증의 진단
- 고식적인 라섹과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라섹 전후의 고위수차의 변화 비교
- 눈물 흘림 환자에서 눈물소관 관류술과 존스 검사, 눈물주머니조영술간의 상관 관계
- 인간 각막세포에서 국소 면역억제 인자 Indoleamine 2,3-dioxygenase의 발현
-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근경사부착술을 이용한 단안 외직근 후전술의 효과
-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 효과
- 비마토프로스트 점안 후 눈 주변 피부 색소침착이 발생한 환자에서 약물중단 후 경과
- 간헐외사시에서 수술 당일 편위각과 수술 결과의 관계
- 사람 망막아세포종 세포에 발현된 P2Y11 수용체의 확인
- 광간섭단층촬영기로 구한 시신경 및 망막신경섬유층 측정치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실리콘기름 안내충전술을 시행받은 다양한 유리체망막질환 환자들의 임상 경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