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식적인 라섹과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라섹 전후의 고위수차의 변화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Changes in Higher-order Aberrations between Conventional and Wavefront-guided LASEK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상목 이민정 김미금 위원량 이진학,Sang Mok Lee, M.D.,, Min Joung Lee, M.D.,, Mee Kum Kim, M.D.,, Won Ryang Wee, M.D.,, Jin Hak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8, 1028~103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and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changes in HOAs in eyes that underwent wavefront-guided LASEK (laser-assisted subepithelial keratectomy), compared with the eyes that underwent conventional LASEK.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21 patients who had undergone LASEK or wavefront guided LASEK with VISX WaveScan and VISX Star S4 eximer laser by a single surgeon (427 total eye operations). We matched 29 eyes of the LASEK and the wavefront LASEK groups (58 eyes total) according to the guideline: preoperative refractive power differences must be within 1 diopter and preoperative root-mean-square (RMS) of total HOAs differences must be within 0.01 ?m. Preoperative wavefront aberrations and two-months postoperative wavefront aberrations and associated facto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Postoperative total HOAs, comas, and spherical aber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0.36±0.10 ?m to 0.49±0.16 ?m (p=.001), 0.21±0.09 ?m to 0.31±0.14 ?m (p=.003), and 0.03±0.10 ?m to 0.10±0.20 ?m (p=.043), respectively, in the conventional LASEK group. In the wavefront LASEK group, postoperative HOAs, comas, and spherical aber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36±0.10 μm to 0.46±0.14 μm (p=.004), 0.18±0.10 ?m to 0.29±0.14 ?m (p=.002), and 0.09±0.14 ?m to 0.19±0.14 ?m (p=.006),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As between the two group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total HOAs and a multiple of increase in total HOAs postoperatively was found, with the negative correlation being stronger in the wavefront-guided LASEK group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697, p<.001) than in the LASEK group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632, p<.001).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ecreases in HOAs in the eyes that underwent wavefront-guided LASEK compared with the matched control eyes of patients that underwent conventional LASEK. Analyzing the tendency of a multiple of increase in total HOA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HOAs, it suggests that the wavefront-guided LASEK may be more effective in suppressing an increase in total HOAs in the eyes with higher preoperative HOA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급속히 자연 퇴행한 양안 안와 가성종양
- 수포각막병증에서 양막 이식술의 효용성
- 원발개방각녹내장에서 중심각막두께와 시야손상의 관계
- 공막두르기 시행 후 발생한 안허혈 2예
- 펨토초 레이저와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근시교정수술에서 임상성적 비교
- 소아 안성형 환자 보호자의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 실험적 포도막염에서 종양괴사인자 단일세포군항체의 치료 효과
- 도시 초등학교 4학년의 굴절 이상과 안 계측치 변화
- 특발성 황반전막 수술 시 내경계막 제거의 효과
- 주파수 배가 시야검사계를 사용한 녹내장 및 녹내장 의증의 진단
- 고식적인 라섹과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라섹 전후의 고위수차의 변화 비교
- 눈물 흘림 환자에서 눈물소관 관류술과 존스 검사, 눈물주머니조영술간의 상관 관계
- 인간 각막세포에서 국소 면역억제 인자 Indoleamine 2,3-dioxygenase의 발현
-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근경사부착술을 이용한 단안 외직근 후전술의 효과
-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 효과
- 비마토프로스트 점안 후 눈 주변 피부 색소침착이 발생한 환자에서 약물중단 후 경과
- 간헐외사시에서 수술 당일 편위각과 수술 결과의 관계
- 사람 망막아세포종 세포에 발현된 P2Y11 수용체의 확인
- 광간섭단층촬영기로 구한 시신경 및 망막신경섬유층 측정치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실리콘기름 안내충전술을 시행받은 다양한 유리체망막질환 환자들의 임상 경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