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각막문신술 후 각막 신경재생 및 지각의 변화
이용수 4
- 영문명
- Changes of Corneal Nerve Regeneration and Corneal Sensitivity after Corneal Tattooing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정현 한영근 위원량 이진학 권지원,Jung Hyun Park, M.D., Young-Keun Han, M.D.,, Won-Ryang Wee, M.D.,, Jin-Hak Lee, M.D.,, Ji Won Kwo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7, 963~96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orneal nerve innervation and sensitivity after corneal tattooing. Methods: Twelve New Zealand rabbi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six subjects each. Tissue marking dye or balanced-salt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corneal stroma in one eye of each subject. Corneal nerve innervation was observed at 3 days and 1, 2, 3, 4, and 6 weeks postoperatively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opposite eyes. Corneal sensitivity was evaluated at 1, 2, and 3 days and 1, 2, 3, 4, and 6 weeks postoperatively and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s in the same subjects. Results: The ratios of corneal nerve density of the study eyes to those of the control fellow eyes were 1.09 in the central area and 1.06 in the peripheral area in subjects injected with tissue marking dye, and 1.11 and 1.23, respectively, in subjects injected with balanced salt solution, whic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rneal nerve density tends to increase at 3 days postoperatively (p=0.125),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thereafter. Corneal sensitivity assessed using the Cochet-Bonnet esthesiometer was 2.13±0.48 cm preoperatively. At three days postoperatively, it was 2.50±0.48 cm in subjects injected with tissue marking dye and 2.33±0.26 cm in subjects injected with balanced salt solution.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3 days postoperatively (2.42±0.36 cm, p=0.03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at 7 days or more postoperatively. Conclusions: Corneal nerve density increased at 3 days after corneal tattooing, and this effec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early postoperative hypersensitiv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에서 경동공온열치료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의 학습곡선
- 유두앞혈관고리와 관련하여 발생한 망막분지동맥폐쇄와 유리체출혈 1예
- 사시각이 큰 부분조절내사시에서의 수술 결과
- 미용 콘택트렌즈와 연관된 아칸트아메바 각막염
- 사체를 이용한 아래눈꺼풀지방의 해부학적 연구
- 백내장 수술 후 예상시력에 대한 망막시력계의 정확성 및 유의성
- 비측 안와에서 발생한 이소성 눈물샘 선상 낭포암 1예
- 무한성 외배엽 이형성증 환자의 안과적 소견
- 척추동물 망막에서 아연과 저온 효과가 명·암순응에 미치는 영향
- 안전수지 저시력환자에서 저시력보조기구의 적용 1예
-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각막염의 임상양상과 예후
- 엑스염색체관련 연소망막층간분리의 시력과 안저 소견
- 초고령자의 백내장 수술시 술후 시력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감염성 각막궤양에 의한 절박천공에서 구조 전층각막이식술의 효과
- 각막문신술 후 각막 신경재생 및 지각의 변화
-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의 광간섭단층촬영, 단파장시야측정, 주파수배가시야검사계 결과
- 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의한 황반병증
- 한국인에서 발생한 어셔증후군의 임상양상
- 심부 표층 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거부반응 2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