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내장 수술 후 예상시력에 대한 망막시력계의 정확성 및 유의성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otential Role of the Retinal Acuity Meter For Predicting Visual Outcome after Catarac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정일 오세훈 김진형 문상웅 이도형,Jung Il Park, M.D., Sae Hoon Oh, M.D., Jin Hyung Kim, M.D., Sang Woong Moon, M.D., Do Hyung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7, 898~90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retinal acuity meter (RAM) in predicting visual acuity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47 eyes from 43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in our clinic. Preoperative BCVA and 3 month postoperative BCVA were measured by the Snellen chart, and we recorded the preoperative visual acuity by RAM. We also grouped the patients according to diabetic retinopathy and preoperative BCVA 20/100. By comparing the expected visual acuity by RAM with actual postoperative BCVA values, we analyzed the accuracy of the RAM`s predictability after surgery. The cataract types and macular disease were taken under consideration when analyzing our results. Results: Of the 47 eyes in our study, the postoperative Snellen visual acuity was predictable within three lines (90.9%) in 11 eyes with diabetic retinopathy and without macular disease. In the 36 eyes without diabetic retinopathy, the postoperative Snellen visual acuity was predictable within three lines (91.6%) of the cases. In both groups, the preoperative RAM acuity and postoperative BCV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2=0.692, R2=0.812, p<0.05). In 41 eyes with preoperative BCVA 20/100 or more, the postoperative Snellen visual acuity was highly predictable in 95.1% (R2=0.763, p<0.05). However, in 6 eyes with preoperative BCVA levels less than 20/100, the postoperative Snellen visual acuity was not predictable (66.6 %). In the patients with both nucleosclerosis and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and in the patients with additional cortical opacity, the postoperative BCVA differed from the preoperative RAM acuity by more than three lines on the Snellen chart. Conclusions: RAM is useful in predicting postoperative visual acuity in cataract patients, but may be unreliable in the patients with combined cataract forms or with preoperative BCVAs less than 20/10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에서 경동공온열치료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의 학습곡선
- 유두앞혈관고리와 관련하여 발생한 망막분지동맥폐쇄와 유리체출혈 1예
- 사시각이 큰 부분조절내사시에서의 수술 결과
- 미용 콘택트렌즈와 연관된 아칸트아메바 각막염
- 사체를 이용한 아래눈꺼풀지방의 해부학적 연구
- 백내장 수술 후 예상시력에 대한 망막시력계의 정확성 및 유의성
- 비측 안와에서 발생한 이소성 눈물샘 선상 낭포암 1예
- 무한성 외배엽 이형성증 환자의 안과적 소견
- 척추동물 망막에서 아연과 저온 효과가 명·암순응에 미치는 영향
- 안전수지 저시력환자에서 저시력보조기구의 적용 1예
-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각막염의 임상양상과 예후
- 엑스염색체관련 연소망막층간분리의 시력과 안저 소견
- 초고령자의 백내장 수술시 술후 시력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감염성 각막궤양에 의한 절박천공에서 구조 전층각막이식술의 효과
- 각막문신술 후 각막 신경재생 및 지각의 변화
-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의 광간섭단층촬영, 단파장시야측정, 주파수배가시야검사계 결과
- 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의한 황반병증
- 한국인에서 발생한 어셔증후군의 임상양상
- 심부 표층 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거부반응 2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