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T Parameters and Visual Acuity after Occlusion Therapy in Hyperopic Anisometropic Ambly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원호 공상묵 백승희,Won Ho Park, M.D., Sang Mook Gong, M.D., Ph.D., Seung-Hee Baek, M.D., M.S.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6, 828~83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We measured the macular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in patients with hyperopic anisometropic amblyopia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l visual acuity after occlusion therapy and these OCT parameters.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comprised 41 patients with unilateral hyperopic anisometropic amblyopia treated from April 2004 to August 2005. According to the final visual acuity after occlusion therapy, we divided our patients into two groups and compared the macular and peripapillary RNFL thicknesses between normal and amblyopic eyes. Results: The mean refractive error was +4.3 diopters (D) in amblyopic eyes, and +1.3 D in normal eyes. The mean macular thickness of group A (patients with final visual acuity equal to or better than 20/25) and group B (patients with final visual acuity worse than 20/25) was 256.8±17.7 ?m and 259.3±14.5 ?m in amblyopic eyes, and 253.8±17.3 ?m and 254.6±16.7 ?m in normal eyes respectively. The mean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of group A and group B was 118.6±12.9 ?m and 111.5±9.0 ?m in amblyopic eyes, and 112.9±9.2 ?m and 108.3±6.5 ?m in normal eyes respectively. In group 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between amblyopic and normal eyes (P=0.0003, 0.04). However, the RNFLestimated integral of both groups after correction of refractive error and axial l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34, 0.45).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CT parameters and final visual acuity after occlusion therapy in hyperopic anisometropic amblyopi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에서 발생한 안동맥폐쇄 1예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직후의 안압변화와 안구마사지 효과
- 핀치 피부 절제법을 병용한 결막접근 아래눈꺼풀 성형술의 효과
- 공막돌륭술로 치료한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술 후 광응고술 유무에 따른 임상 비교 분석
- 원시성 굴절부등약시에서 가림치료후 최종시력과 빛간섭단층촬영의 변수와의 관계
- 황반박리를 동반한 열공성망막박리환자에서 공막돌륭술 후 시력결과에 미치는 수술전 요인
- 산소로 유도된 망막증 모델에서 인간재조합 적혈구생성인자가 망막혈관에 미치는 영향
- 라식 수술 후 압평안압계와 비접촉성 안압계 측정치간 큰 차이를 보인 1예
- 비전형적 밀러-피셔증후군 1예
- 교뇌출혈후 발생한 동측 내사시를 동반한 수평주시마비 1예
- 급성 뒤유리체박리와 관련된 망막열공의 임상분석
-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시 내경계막 절제술의 유용성
- 선별검사자료를 이용한 백내장 유병률의 추정
- 안윤근파동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치료 효과
-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반복 시행한 광역학치료의 효과
- 굴절조절내사시 환자의 굴절력 변화
- 테논낭의 회전 피판을 이용한 저안압 치험 1예
- 동공크기에 따른 초음파유화흡인술의 결과
- 백색증 환자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3예
- 프리만-쉘던증후군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