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 of Refractive Error in Patients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임수진 이세엽 이영춘,Su Jin Lim, M.D., Se Youp Lee, M.D., Young Chun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6, 822~82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degree and change in refractive error and the relation of refractive error, the angle of deviation and amblyopia in patient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Methods: Children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in the study. The factor studied were sex, age at the first visit, ocular alignment, refractive error and amblyopia. Results: The average age at the first visit was 4.01±1.86 years. And, the average angle of esodeviation was 22.23±13.74PD for the near and 21.51±12.01PD for the distant. The average manifest and cycloplegic refraction measured at patient`s first visit were +2.35±2.87D and +4.87±1.77D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cycloplegic and manifest refraction decreased gradually. After 3 years, the average manifest and cycloplegic refraction were +3.42±1.80PD and +4.33±1.77D. The refractive error didn`t significantly affect the degree of esodeviation (r=0.051). Twenty-three of patients were amblyopia. The refraction of amblyopic and non amblyopic patient was +5.07±1.85D and +4.50±2.47D, respectively.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Mean cycloplegic refra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a 3-year period. After full correction with glasses, the difference between cycloplegic and manifest refraction decreased. The refractive error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deviation anlge, amblyopia occurrence and treatment succes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에서 발생한 안동맥폐쇄 1예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직후의 안압변화와 안구마사지 효과
- 핀치 피부 절제법을 병용한 결막접근 아래눈꺼풀 성형술의 효과
- 공막돌륭술로 치료한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술 후 광응고술 유무에 따른 임상 비교 분석
- 원시성 굴절부등약시에서 가림치료후 최종시력과 빛간섭단층촬영의 변수와의 관계
- 황반박리를 동반한 열공성망막박리환자에서 공막돌륭술 후 시력결과에 미치는 수술전 요인
- 산소로 유도된 망막증 모델에서 인간재조합 적혈구생성인자가 망막혈관에 미치는 영향
- 라식 수술 후 압평안압계와 비접촉성 안압계 측정치간 큰 차이를 보인 1예
- 비전형적 밀러-피셔증후군 1예
- 교뇌출혈후 발생한 동측 내사시를 동반한 수평주시마비 1예
- 급성 뒤유리체박리와 관련된 망막열공의 임상분석
-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시 내경계막 절제술의 유용성
- 선별검사자료를 이용한 백내장 유병률의 추정
- 안윤근파동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치료 효과
-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반복 시행한 광역학치료의 효과
- 굴절조절내사시 환자의 굴절력 변화
- 테논낭의 회전 피판을 이용한 저안압 치험 1예
- 동공크기에 따른 초음파유화흡인술의 결과
- 백색증 환자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3예
- 프리만-쉘던증후군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