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mblyopia and Strabismus Accompanied with Anisome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준범 문찬식 장윤희 유호민 이종복,Jun Bum Kim, M.D., Chan Shik Moon, M.D., Yoon Hee Chang, M.D., Ho Min Lew, M.D., Jong Bok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3, 411~4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ompanying amblyopia and strabismus in patients with anisometropi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93 patients, who had either spherical or cylindrical anisometropia of more than 1.00D.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pherical hyperopic anisometropia, spherical myopic anisometropia, cylindrical hyperopic anisometropia, and cylindrical myopic anisometropia. We investigated the accompanying amblyopia and strabismus. Amblyopia was treated with lens correction and patch therapy and we analyzed the results for 78 patients who fulfilled six-month follow-up examination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mblyopia between spherical and cylindrical anisometropia. Spherical myopic anisometropia of more than 3.00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mblyopia (p=0.001). Spherical hyperopic anisometropia of more than 1.00D, cylindrical hyperopic anisometropia of more than 2.00D, and cylindrical myopic anisometropia of more than 2.00D showed an increased tendency for amblyopia. Between spherical and cylindrical anisometropi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and duration of amblyopia treatment, and type and frequency of strabismus. Conclusions: In spherical anisometropia, hyperopic anisometropia has a higher risk for developing amblyopia. We could find the threshold for the development of amblyopi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굴절부등에 동반된 약시 및 사시
- 수력을 이용한 수정체유화술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손상 받은 각막 상피세포가 중배엽 줄기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위눈꺼풀 성형술 후 눈꺼풀계측치의 변화
- 메모리 친수성 아크릴릭 인공수정체의 백내장 수술 2년후 임상결과
- 결막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MALToma)의 안구 내 침범 환자 1례 보고
- 국소마취하 사시수술에서 시행한 술 중 조정술의 성적
- 단안 상사근 마비와 동반된 수평 사시의 특징 및 치료 예후
- 반복각막진무름 후 혼합 세균각막염 1례
- 조절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성적
- 콘택트렌즈 소독액의 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능력 평가
- 근시성 맥락막혈관신생에서 선택적초시력시야계 결과분석
- 각막이식직후 발생한 비감염성 전방 염증
- 랄스토니아에 의한 각막궤양 1례
- 홍씨 앞방각측정법의 임상적 유용성
- 한국인에서 가변각막보정 주사레이저편광측정계의 진단적 유용성
- 성인의 눈꺼풀결막에 발생한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1례
- 각막 천공을 동반한 무렌각막궤양에 시행한 양막이식술
- 전층각막이식술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수정체제거와 유리체절제 동시 시술 때 인공수정체 삽입 시기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쇼그렌증후군 건성안 환자에서 디쿠아포솔과 레바미피드 점안액의 효능 비교
- 인공수정체안에서 황반원공 수술 후 시력 개선에 대한 수술 전 예측인자
- 저산소성 손상 후 망막신경절세포에서 microRNA의 발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