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rgical Results of Intraoperative Adjustable Suture Strabismus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준모 김지홍 이수정 최희영,Jun Mo Park, M.D., Ji Hong Kim, M.D., Soo Jung Lee, M.D., Hee Young Choi,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3, 405~41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We assessed the postoperative surgical results of intraoperative adjustment technique under topical and subconjunctival anesthesia in children and adult strabismus patients. Methods: 48 patients (55 cases) who underwent intraoperative adjustable strabismus surgery under topical and subconjunctival local anesthesia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the years 2001 and 2004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The deviations preoperatively, at postop. 1 day, 1 month, 3 months and last follow up were measured and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3 months to 39 months, average 7.5 months. Success was defined as alignment of overcorrection within 5△ and undercorrection within 10△ at horizontal strabismus, and as alignment within 5△ at vertical strabismus. Results: Of the 48 patients identified (20 men and 28 women; mean age: 29.6 years), 28 had exotropia, 9 had esotropia, 4 had vertical strabismus, and 7 had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trabismus. The success rates for exotropia were 84.8% at postop. 3 months and 81.8% at last follow up and 81.8% for esotropia respectively and 72.7% for vertical strabismus respectively. Mean change in the angle of deviation between postoperative 1 day and last follow up was 5.3△ for cases of exotropia, 2.4△ for esotropia and 1.8△ for hypertropia. The visual acuity, preoperative deviation, amount of adjustment, number of operated muscles, and monocular or binocular strabismus surger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rgical outcome and change of deviation. Conclusions: Intraoperative adjustable suture strabismus surgery under topical and subconjunctival local anesthesia had relatively successful results. Postoperative drift toward the original deviation was observ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굴절부등에 동반된 약시 및 사시
- 수력을 이용한 수정체유화술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손상 받은 각막 상피세포가 중배엽 줄기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위눈꺼풀 성형술 후 눈꺼풀계측치의 변화
- 메모리 친수성 아크릴릭 인공수정체의 백내장 수술 2년후 임상결과
- 결막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MALToma)의 안구 내 침범 환자 1례 보고
- 국소마취하 사시수술에서 시행한 술 중 조정술의 성적
- 단안 상사근 마비와 동반된 수평 사시의 특징 및 치료 예후
- 반복각막진무름 후 혼합 세균각막염 1례
- 조절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성적
- 콘택트렌즈 소독액의 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능력 평가
- 근시성 맥락막혈관신생에서 선택적초시력시야계 결과분석
- 각막이식직후 발생한 비감염성 전방 염증
- 랄스토니아에 의한 각막궤양 1례
- 홍씨 앞방각측정법의 임상적 유용성
- 한국인에서 가변각막보정 주사레이저편광측정계의 진단적 유용성
- 성인의 눈꺼풀결막에 발생한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1례
- 각막 천공을 동반한 무렌각막궤양에 시행한 양막이식술
- 전층각막이식술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수정체제거와 유리체절제 동시 시술 때 인공수정체 삽입 시기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능력과 인간중심간호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아시아 유학생의 한국 적응 전환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