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agnostic Ability of Scanning Laser Polarimetry with Enhanced Corneal Compensation in the Eye with Typical and Atypical Retadation Patter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창환 권용혁 최재완 국문석,Chang Hwan Lee, M.D., Yong Hyuk Kwon, M.D., Jae Wan Choi, M.D., Michael S. Kook,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3, 392~39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P-VCC parameters and the SLP-ECC parameters in the eyes with typical retardation pattern (TRP) and atypical retardation pattern (ARP), and the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the SLP-VCC parameters and the SLP-ECC parameters in the eye with TRP and ARP. Methods: In this prospective study, 72 eyes with TRP images (30 glaucomatous and 42 normal eyes) and 53 eyes with ARP images (28 glaucomatous and 25 normal eyes) were recruited. For each group,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ameters of GDx-VCC and GDx-ECC and the diagnostic ability of GDx-ECC by using the ROC curve. Results: In the eyes with TRP, TSNIT average was significantly lower by GDx-ECC than GDx-VCC in the control group. Inferior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laucomatous and normal group. TSNIT standard devi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roups. NFI was significantly low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roups. TSS (typical sca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roups. In the eyes with ARP, TSNIT average was significantly low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roups. Superior and Inferior average was not different between GDx-ECC and GDx-VCC. TSNIT standard devi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roups. NFI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TSS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Dx-ECC than GDx-VCC in both groups. Comparison of ROC curve for the SLP parameters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VCC and ECC. TSNIT standard deviation, however, showed relatively high value in GDx-ECC compared with GDx-VCC. Conclusions: GDx-ECC has comparable diagnostic ability in discriminating glaucomatous and normal eyes with GDx-VCC and TSNIT standard deviation by the GDx-ECC algorithm could be a useful parameter in discriminating glaucomatous and normal ey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굴절부등에 동반된 약시 및 사시
- 수력을 이용한 수정체유화술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손상 받은 각막 상피세포가 중배엽 줄기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위눈꺼풀 성형술 후 눈꺼풀계측치의 변화
- 메모리 친수성 아크릴릭 인공수정체의 백내장 수술 2년후 임상결과
- 결막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MALToma)의 안구 내 침범 환자 1례 보고
- 국소마취하 사시수술에서 시행한 술 중 조정술의 성적
- 단안 상사근 마비와 동반된 수평 사시의 특징 및 치료 예후
- 반복각막진무름 후 혼합 세균각막염 1례
- 조절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성적
- 콘택트렌즈 소독액의 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능력 평가
- 근시성 맥락막혈관신생에서 선택적초시력시야계 결과분석
- 각막이식직후 발생한 비감염성 전방 염증
- 랄스토니아에 의한 각막궤양 1례
- 홍씨 앞방각측정법의 임상적 유용성
- 한국인에서 가변각막보정 주사레이저편광측정계의 진단적 유용성
- 성인의 눈꺼풀결막에 발생한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1례
- 각막 천공을 동반한 무렌각막궤양에 시행한 양막이식술
- 전층각막이식술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수정체제거와 유리체절제 동시 시술 때 인공수정체 삽입 시기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능력과 인간중심간호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아시아 유학생의 한국 적응 전환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