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사이족 선교현장과 공동체 선교론의 필요성
이용수 74
- 영문명
- Maassai Mission-Field and the Necessity of Communal Missio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최재룡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38집, 393~423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부분의 타문화권 선교현장은 공동체적 세계관 속에 살아가는 사회이다. 특별히 필자가 참여하였던 마사이족 사회는 전통의 공동체적 사회 시스템을 최근까지도 강하게 유지해 오고 있다. 마사이 사회는 혈연이라고 하는 일차적인 공동체를 넘어서 연령공동체라고 하는 사회 제도를 통해 강력한 공동체를 형성한다. 전사들의 군영인 마냐타를 통해 동년배집단을 이루어 내고, 평등하고 유무상통하는 삶을 이상으로 하는 마냐타 정신을 통해 이 연령 집단을 평생의 일체적 공동체로 묶어낸다. 마사이 사회는 또한 두 개의 동년배집단을 하나의 세대집단으 로 합체할 때, 전체 마사이 지파들이 동일한 세대집단 이름을 사용함으로 써 전체 마사이의 일체감을 이룬다. 이러한 연령공동체의 형성 과정은 생애주기에 맞춰진 통과의례들을 통해 마사이적 삶을 이끌어간다. 그러나 마사이족의 공동체성은 여성과 아이들을 배제하고 소외시 키며, 그 적용범주를 동심원적 원근관계에 따라 차별화함으로써 한계를 갖는다. 또한 근대화의 물결 앞에서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위기의 핵심은 공동체의 낙후 문제, 그리고 세대가 거듭될수록 분명해지는 공동체성의 약화와 그로 인한 삶의 파편화로 요약될 수 있다. 낙후의 문제는 동아프리카의 근대화 역사에서 권력으로부터의 배제와 스스로 의 고립으로 인해 발생되었고, 공동체성의 약화 문제는 최근의 지구화 상황에서 몰아닥치고 있는 압축적 근대화가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기독교 선교는 마사이족에게 환영받고 있으나, 그 안에 내재된 개인주 의적 성격 때문에 결국 공동체성의 해체와 삶의 파편화에 일조하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 선교는 개인주의를 극복하고 공동체성을 강화해 야 할 필요가 있다. 마사이를 비롯한 공동체적 사회의 사람들에게 공동체는 삶의 총체성과 존엄성을 보장하는 토대이기 때문이다. 공동체 적 선교의 실행을 위해서는 선교활동체의 공동체적 갱신이 필요하고, 이러한 자기변혁을 도울 공동체 선교론이 요청된다. 공동체 선교론은 기독교 신앙이 간직하고 있는 복음의 핵심에 잘 합치될 수 있다. 삼위일 체 신앙은 하나님의 공동체적 본성과 공동체적 세계관계양식(missio Dei, 하나님의 선교)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하나님의 선교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인간-세계-교회를 공동체적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하게 하기 때문이다. 공동체 선교론의 체계화는 또한 현대 선교가 발전시켜 온 통전적 선교의 완성도를 신학적, 실천적으로 높이 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Most of societies in the third world mission fields have communal life styles. Maassai society which I had stayed as a missionary, has been keeping their traditional community system up to the latest time. They have not only kinship community but also age-set community. In maassai society, manyatta system which is a kind of barrack of warriors called Muran, casts age-groups and inspires its members with manyatta spirit which aspires a equal and unlimited sharing society. The manyatta spirit ties up the members into a lifelong community. When two age-groups are united into one age-set, all the sub-tribal sections in maassai use the same age-set name. This makes them feel that all maassai men are brothers. But maassai community has some problems. They exclude and alienate women and children, and discriminate among peop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imacy. Besides, the wave of modernization causes crisis to maassai society. The first one is underdevelopement. Maassai has been underdeveloped historically due to Bristich imperialism and the government of Kenya in a row. It makes them unable to support lives of their community members. The second crisis is the collapse or weakening of their communality. It has been brought about by the rapid modernization under the wave of globalization. Mission in maassai society requires communality of mission itself. Because community is the base which assures the wholeness and dignity of life for the people of communal societies like maassai. Moreover communality is a precondition to practice the integral mission. The practice of communal mission asks for us to develop a mission theory based on community. When we interpret our faith of the Tri-unity in the view-point of community, we can realize that communality is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the human being and the church which are related to missio dei and church’s missions. Therefore we can make a conclusion that communal mission theory is proper for the third world mission fields as well as is accord with missio dei. And it can be harmonized with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mission theories.
목차
한글 초록
Ⅰ. 서론
Ⅱ. 마사이 사회의 공동체성
Ⅲ. 마사이 공동체성의 위기와 개인주의적 기독교 선교
Ⅳ. 공동체 선교론 개발의 필요성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로잔운동에 나타나는 화해로서의 선교: 2004년 파타야 포럼과 케이프타운 서약문을 중심으로
- 미국교회 선교적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와 적용양태
- 남북분단 70년과 북한선교의 방향성 모색
- 초기기독교 확장에 대한 선교 역사적 성찰
- 마사이족 선교현장과 공동체 선교론의 필요성
- 한국 무슬림들의 개종 사례 연구:왜 기독교인들이 교회를 떠나 이슬람 사원으로 향하는가?
- 선교적 그리스도인으로서 서서평 (Elisabeth J. Shepping) 선교사의 선교 사역: 선교적 교회 형성에 주는 함의
- 한반도 통일 상황의 이해를 위한 문화인류학적 고찰
-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역량 강화 방안:필리핀 현지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제4 선교신학 태동의 필요성 소고
-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에큐메니칼 교회론: 교회의 선교적 소명으로서의 교회일치와 연합
- 타문화권 선교로 접근해야 할 북한선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