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의 집단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468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Group Mentoring for Delinquent Adolescents under Prob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고윤순(Yun Soon Koh)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35號,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멘토링의 성과내용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년원 퇴원 후 A시 청소년자립생활관에서 거주하는 보호관찰청소년들에게 집단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한 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멘토링 경험을 파악하였다. 질적자료 분석결과, 3개 영역, 8개 중심주제, 23개의 세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멘토링의 성과는 보호관찰청소년 지도, 멘토링을 통한 대학생의 자아성장, 그리고 멘토링프로그램 평가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청소년지도영역은 학업과 진로지도, 정서적 지지, 상담으로, 대학생의 자아성장영역은 인식변화와 자아성찰, 지도기술 및 프로그램 지원능력, 보람과 성취감으로, 멘토링프로그램 평가영역은 집단멘토링의 장단점, 기관과 대학에 대한 제언으로 범주가 세분화 되었다. 학업과 진로지도에서 대학생멘토는 복학ㆍ학교적응 지도, 직업탐색과 진로지도, 검정고시준비와 대학진학지원, 기술훈련과 취업지원, 군복부준비를 지도하였다. 정서적 지지와 상담으로 사회적응을 위한 정서적지지, 문제행동ㆍ비행예방상담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멘토대학생의 인식변화와 자아성찰로는 청소년 및 문제원인이해,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수정, 봉사자로서의 자아성찰, 예비전문가로서의 성장이 있었다. 또한 대학생은관계형성기술, 상담기술, 프로그램지원능력이 향상되었고, 돕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집단멘토링은 편안함과 상호지지의 장점이 있는 반면 청소년의 소외감와 편애의 한계도 있었다. 멘토링프로그램을 위해 대학생들은 기관에는 지원과 수퍼비전, 대학에는 진로지도와 교육을 요청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관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생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montoring for delinquent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 qualitative study metho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1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 in a public youth group hom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ubjects students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mentoring activities and 3 areas, 8 subjects, and 23 sub-subjects were identified. Three areas of outcome were 'Guiding Delinquent Adolescents', "Self-Growth of Mentors', and "Evaluation of Montoring Program'. Guiding area included 'study and career guidance',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and Self-Growth area included 'recognition change and reflection on self', 'guidance skills, program assistance ability', and 'satisfaction from achievement'. Program Evaluation area included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group mentoring', 'suggestions to agency and university'.
It was identified that for 'study and career guidance', mentors helped mentees with school adjustment, preparation for GED and college, job training and employment, and preparation for military service. For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mentors helped mentees with emotional support for social adjustment, and counseling for problem behaviors and delinquency prevention. Mentor's recognition change and self-analysis included correction of bias, and self-analysis as a helper. It was found that mentors improved skills in relationship, resource identification and counseling, and program assistance and they felt satisfaction from mentoring. Group mentoring had limitations of isolation and preference in relations while having comfort and mutual support. Mentors hoped that agency would provide them with a guideline and supervision while asking university for guidance and education on juvenile issues.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mentoring programs with university students for delinquent juveniles were mad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