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택화재 감식을 위한 바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Flooring Materials for the Fire Identifica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영주 이해평 김해림 Park, Young-Ju Lee, Hae-Pyeong Kim, Hae-Ri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1권5호, 197~20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거용 실내 바닥재의 연소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화재감식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거용 실내마감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마루바닥재 3종류(강화, 합판, 원목)와 일반장판 2종류(페트장판, 모노륨장판)를 대상으로 착화특성, 화염전파특성, 연소생성물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장판은 마루바닥재 보다 착화위험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루바닥재는 일반장판보다 착화는 늦지만 최대열방출율이 높기 때문에 화재크기는 더 큰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최대열방출율에 도달하는 시간은 모든 바닥재에서 착화시간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루바닥재는 일반장판보다 연기발생량이 많았으며, 연기발생량에 따른 마루바닥재와 일반장판의 감쇠계수의 범위는 0.8~5.3 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성지수는 마루바닥재 보다 일반장판이 상대적으로 높고, 일반장판 가운데 모노륨장판은 독성지수가 7.8 정도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 마루바닥재는 일반장판보다 화재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고 착화위험성은 낮으며, 일반장판은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 등의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flooring material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identification of fire. The ignitibility, fire spread, and product of combustion were analyzed for three kinds of flooring materials( reinforcement, plywood, hardwood) and two kinds of common linoleum(PET mat, monorium mat). As a result, common linoleum ignited in less time than flooring materials and the fire risk appeared relatively higher. The flooring materials was slower to ignite but, once it set fire,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was generally higher and the fire size was typically higher than those common linoleum. In addition,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was proportional to the ignition time at all floors. The amount of smoke release was relatively larger on flooring materials than on common linoleum, and the extinction coefficient of flooring materials and common linoleum depending on the volume of smoke release ranged at 0.8~5.3. Toxicity index was relatively higher at flooring materials than common linoleum, and among common linoleum, monorium mat had a toxicity index of 7.8, which was at the highest level. Therefore, the result shows that in case of fire, flooring materials will have relatively larger fire scale but relatively lower fire risk than common linoleum, and common linoleum will have higher risk of casualties due to toxic gas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온 및 강수량 기록경신 발생빈도
- 강우발생 시 해안지역 대장균 유출에 관한 연구
- 이상홍수에 따른 남한강 유역의 홍수저감대책 분석
- 고속철도 상 교량의 정밀 동적해석을 위한 개선된 수치적분법
- 타이어를 장착한 하중이동시험의 LOOP이음 바닥판 진동수 특성
- 협소한 뒤채움을 갖는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연구
- 금강 상류 유역의 저수지 홍수저감지수 산정
- 입력 강우 형태에 따른 수위예측 회귀모형의 성능 비교분석
- LW 그라우팅에 의한 지하차도 기둥의 파손원인 분석
- 말뚝지지형 조립식 보도 잔교의 상부 및 교각 성능기반설계에 대한 해석연구
- 계단실 가압과 승강로 가압 제연방식의 성능 비교 연구
- 주택화재 감식을 위한 바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캡슐형 케미컬 롯트앵커의 부착강도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및 강관의 부착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하도육역화 관리를 위한 물골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해정보 구현
- 분리형 부재 옹벽 설계 프로그램 개발
- 니켈-크롬 합금강바를 이용한 교각부 내진보강 성능개선
- 콘크리트 쉴드 터널 라이닝의 내화성능 평가
- DEM기반의 홍수범람모형과 MD-FDA를 이용한 홍수 피해액 산정에 관한 연구
- 하천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량산정 방안
- 시멘트 혼합 노상토의 강도특성
- 장기 공용 후, 디스크받침이 설치된 판형교의 동적 거동 평가
- 선행함수조건을 고려한 유역대표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의 결정
- RC 보의 충격저항성능 향상을 위한 강섬유 및 CFRP Sheet의 보강 효과
- 사례분석을 통한 콘크리트 건물에 발생된 균열폭 및 길이 분포특성 연구
- 강원 산간지역의 토사 유출에 따른 사방댐의 안전성 해석
-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 성능에 관한 연구
- 재난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부부관계 변화
- 소방용 보호장구 착용시 주위온도변화에 따른 신체반응
- 3단 벤로유리온실의 경제적인 뼈대구조시스템
- 환기 및 소방용 다기능 복합댐퍼의 설계에 관한 연구
- 다짐도 측정을 위한 휴대용 콘 관입시험기에 대한 연구
- 극치호우사상에 기초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 철근부식 및 부착성능 변화에 따른 압축 및 휨 부재의 거동
- 호우사상의 크기순서에 대한 고찰
- 과보강 프리스트레스트 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보 휨실험
- 건물 및 도로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에서의 2차원 침수해석
- 재해지도 현황 및 통합 활용방안 (재해지도 작성.활용에 관한 실태조사 및 분석)
- I 형 축력부재의 잔류응력 패턴과 최대 잔류 응력을 고려한 접선탄성계수식
- 경복궁 소방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한 GPR탐사 활용성 연구
- 콘크리트 충진 FRP Tube의 실험적 휨거동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