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니켈-크롬 합금강바를 이용한 교각부 내진보강 성능개선
이용수 78
- 영문명
- Anti-seismic Capacity Improvement of Bridge Pier by Nickel-Chrome Alloy Bar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장일영 김성수 박종권 김성겸 Jang, Il-Young Kim, Sung-Soo Park, Jong-Kwon Kim, Seong-Kyu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1권5호,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설된 교량의 경우 최근 개정된 도로교 설계기준에 의하여 내진설계를 수행하여 시공되고 있으나, 내진설계규정이 적용되기 이전에 시공되어 사용 중인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경우에는 지진에 의한 횡하중에 대해 취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내진보강 모델링 및 실내실험을 통해 여러 형태의 보강기법 중에서 가장 우수한 내진보강 성능을 발휘하는 보강기법을 도출하고, 그 기법을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기존교량에 적용시켜 우수한 내진보강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내진보강된 교각에 대하여 모델링을 통한 수치해석결과 보강전에 비하여 보강후 변위에 대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비내진 설계된 원형 교각모델에 대하여 축소실험체를 제작하고 내진보강 재료로써 우수한 성질의 니켈-크롬 합금강바를 이용하여 띠형, 나선형, 수평수직 혼합형의 보강을 내진보강에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띠형과 띠, 수직 혼합형의 보강 형태보다는 나선형태의 내진보강이 가장 우수한 내진보강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영문 초록
The newly bridge, as amended by the Highway Bridge Seismic design standards and by performing the construction. But, prior to the construction standards apply seismic. Reinforced concrete piers may be vulnerable to an earthquake by the lateral loads. In this study, modeling performed seismic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techniques through experiments of various types of best seismic reinforcement techniques. It has not been applied Seismic techniques to apply to the existing bridge seismic reinforcement. So, It will be able to performance. In this paper, reinforced through the numerical modeling for the pier reinforcement. The results compared to the after reinforcement against. Displacement was confirmed that more reduction. A non-seismic design for a circular pier models produced. It subject to reduction as a high seismic reinforcement material properties of nickel-chrome alloy using a strip, spiral, horizontal and vertical mixed-seismic reinforcement.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As a result, that the form of a spiral is bett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ixed stripes type and strip shape in seismic reinforcement performance was confirm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온 및 강수량 기록경신 발생빈도
- 강우발생 시 해안지역 대장균 유출에 관한 연구
- 이상홍수에 따른 남한강 유역의 홍수저감대책 분석
- 고속철도 상 교량의 정밀 동적해석을 위한 개선된 수치적분법
- 타이어를 장착한 하중이동시험의 LOOP이음 바닥판 진동수 특성
- 협소한 뒤채움을 갖는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연구
- 금강 상류 유역의 저수지 홍수저감지수 산정
- 입력 강우 형태에 따른 수위예측 회귀모형의 성능 비교분석
- LW 그라우팅에 의한 지하차도 기둥의 파손원인 분석
- 말뚝지지형 조립식 보도 잔교의 상부 및 교각 성능기반설계에 대한 해석연구
- 계단실 가압과 승강로 가압 제연방식의 성능 비교 연구
- 주택화재 감식을 위한 바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캡슐형 케미컬 롯트앵커의 부착강도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및 강관의 부착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하도육역화 관리를 위한 물골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해정보 구현
- 분리형 부재 옹벽 설계 프로그램 개발
- 니켈-크롬 합금강바를 이용한 교각부 내진보강 성능개선
- 콘크리트 쉴드 터널 라이닝의 내화성능 평가
- DEM기반의 홍수범람모형과 MD-FDA를 이용한 홍수 피해액 산정에 관한 연구
- 하천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량산정 방안
- 시멘트 혼합 노상토의 강도특성
- 장기 공용 후, 디스크받침이 설치된 판형교의 동적 거동 평가
- 선행함수조건을 고려한 유역대표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의 결정
- RC 보의 충격저항성능 향상을 위한 강섬유 및 CFRP Sheet의 보강 효과
- 사례분석을 통한 콘크리트 건물에 발생된 균열폭 및 길이 분포특성 연구
- 강원 산간지역의 토사 유출에 따른 사방댐의 안전성 해석
-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 성능에 관한 연구
- 재난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부부관계 변화
- 소방용 보호장구 착용시 주위온도변화에 따른 신체반응
- 3단 벤로유리온실의 경제적인 뼈대구조시스템
- 환기 및 소방용 다기능 복합댐퍼의 설계에 관한 연구
- 다짐도 측정을 위한 휴대용 콘 관입시험기에 대한 연구
- 극치호우사상에 기초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 철근부식 및 부착성능 변화에 따른 압축 및 휨 부재의 거동
- 호우사상의 크기순서에 대한 고찰
- 과보강 프리스트레스트 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보 휨실험
- 건물 및 도로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에서의 2차원 침수해석
- 재해지도 현황 및 통합 활용방안 (재해지도 작성.활용에 관한 실태조사 및 분석)
- I 형 축력부재의 잔류응력 패턴과 최대 잔류 응력을 고려한 접선탄성계수식
- 경복궁 소방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한 GPR탐사 활용성 연구
- 콘크리트 충진 FRP Tube의 실험적 휨거동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