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사회 생태적 접근
이용수 38
- 영문명
- Community Ecological Approach for Sustainable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대희(Dae Hee Kim) 이채식(Chae Shik Lee)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11권 1호, 161~1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d community ecological approach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 and Sustainable Society(SS). Community ecology is composed of nature, environment and diverse species and is dynamic and sustainable system by interaction among those components.
It is required long-term, integrating and eco-centric stances to achieve ESSD and SS such as eco-city and eco-village movements. This is integrated and complicated perspective beyond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Community ecological perspective directs people toward ecological society system which creates and maintains adaptable life style under ecological situation in community. Building up eco-parks, eco-cites, eco-villages are crucial movements for promoting human's environmental living standards. These sustainable community movements require people to change their values and life styles suitable for their SS. It is required integrated and balanced perspective and participating endeavor of residents to maintain SS.
목차
Summary
Ⅰ. 서론
Ⅱ.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생태적 접근
Ⅲ. 지속가능한 발전 및 사회
Ⅳ. 환경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지역사회 생태의 지속성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
Ⅴ. 결론
Ⅵ.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 경기 남서부지역의 인구특성 연구
- Situation of Community Forest Resource Management In Vietnam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사회 생태적 접근
- 일본의 생활개선사업 현황과 21세기 전망
- 농촌지도 이념으로서의 평생교육론 고찰
- 여성농업인을 위한 직업교육: 일감갖기 사업을 중심으로
- 생명공학과 GMOs의 농업에 대한 사회적 함의
- 인터넷 온실경영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농촌지도사의 역할갈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고객만족도 측정
- 농촌청소년의 여가활동 활성화방안
- 한국 농촌계획의 방향정립과 과제
- 수도권 농촌의 기능 변화와 지역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