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Effects of Ca2+ Antagonists and Protein Kinase Unhibitors on Rat Aorta Contraction Induced by KCl and Phenylephrine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심상수(Sang Soo Sim) 문성원(Sung Won Moon) 이윤혜(Yun Hye Lee) 이정근(Jung Keun Lee) 김현준(Hyun Jun Kim) 박진형(Jin Hyoung Park) 이준한(June Han Lee) 조중형(Jung Hyung Cho) 김창종(Chang Jong Kim)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43권 제5호 (1999년), 659~66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0.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ontractile mechanism between KCl and phenylephrine-induced contraction, we observed effects of Ca2+ antagonists and protein kinase inhibitors on aorta contraction of rats. Verapamil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contraction induced by KCl and pheylephrine, the inhibitory effect of verapamil was more potent in KCl-induced contraction than phenylephrine-induced contraction. Econazole and TMB-8 significantly inhibited KCl-induced contraction but did not inhibit phenylephrine-induced contraction. Staurosporine dose-dependently inhibited both KCl and phenylephrine-induced contraction. Genistein and calmodulin antagonists (W-7 and trifluoperazine) also inhibited both contra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However, the inhibitory effects of genistein and calmodulin antagonists were more potent in pheylephrine-induced contraction than KCl-induced con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volvements of Ca2+ channel and protein kinase in rat aorta contraction were dependent on agonist causing aort smooth muscle contrac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오리나무 잎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 ATP-의존성 K+ Channel 차단제인 Gilbenclamide의 중추적 이뇨작용에 대한 신장 신경제거와 Cromakalim의 영향
- 비수기성 항 Histamine제와 대뇌 Muscarine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 정상 한국인 장기조직중 중금속류의 상호관련성
- Corrosolin 및 Compound-2 : Annona cherimolia 씨앗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독성 Annonaceous acetogenin
- 1,3-Dioxolan-2-yliden 유도체들의 합성과 항진균 활성
- 솔비나무 (Maackia fauriei) 심재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III)
- 새로운 항암제 DA-125의 유전자 복제 억제 기작
- 흰쥐를 이용한 에페드린의 약물남용가능성 평가
- 흰쥐 조직에서 카드뮴 결합 고분자량 단백질 [Cd-BP(II)]의 유도
-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iforme) 배양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분획 HCA의 항암 및 백혈구감소증 억제효과
- 잣버섯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단백다당체 Lepidan의 면역증가작용
- Quinolinedione유도체, OQ1과 OQ21에 의한 혈관 이완 억제에 Oxidative stress의 중요성
- 발열성 물질시험과 세균 내독소 시험의 비교 연구
- 새로운 항암성 제리쿠드라닌 E 유도체의 합성 및 항암활성
- 호장근의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지질과산화 저해활성
- KCl과 phenylephrine에 의한 대동맥 수축에서 Ca2+ 길항제와 protein kinase 억제제들의 비교 효과
- 개의 신장기능에 미치는 Ketanserin의 영향
- 천연감미료 스테비오사이드와 스테비올의 생체내, 시험관내 유전독성평가
- 황해쑥(Artemisia argyi)의 H9(ATCC HTB176)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