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집합적 학습 -조력 집단에 대한 성찰-
이용수 78
- 영문명
- Community Business and Collective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정섭(Jeong Seop Kim)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20권 3호, 603~64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 정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현장에서 지역사회 주민과 조력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근거해야 할 실천 윤리,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동의 과정적 요소에 관한 사례 분석, 관련 정책 사업의 문제점 등을 논의하였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주민들 스스로 실천하는 비즈니스 형식의 활동으로, 주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문제 제기-집합적 학습-조직화’의 과정적 요소로 이뤄진다. 현재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중간지원조직은 유연한 조력 활동이 아니라 정책 사업 관리의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정부의 관련 정책 사업은 주민들 스스로의 문제 제기와 학습이라는 선행 과정을 건너뛰어 충분한 준비 없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실천을 조장하는 측면도 있다. 관련된 정부 보조금 정책 사업의 틀이나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주도하는 과정에 유연하게 조력할 수 있도록 재편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Community Business is defined as profit-making enterprise for which a community residents can tak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It is comprised of some sequential activities: identifying problems, collective learning, organization. In rural South Korea,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Community Businesses. However, the related policy programs are missing the very important perspective that self-help approach be essential in Community Business. Therefore, the policy programs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y could effectively help community`s autonomous practi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