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시평 문체의 형성과 의의
이용수 324
- 영문명
- Формирование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ого стиля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 начале XX вв. и его значение в истории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김용화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1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에게는 근대러시아 문학어사가 없다”, “19세기 중반부터 오늘날까지 문학어 텍
스트의 언어 구조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에 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지
식은 여전히 적다”(Чапаева 4 재인용). 이것은 20세기 말 러시아 언어학자들(Кутина,
Сорокин, Горшков)의 말이다.
실제로 러시아 문학어사는 11 – 18세기 연구에 집중되어 있고, 현재는 20세기 중·후
반부터의 현대러시아 문학어 변화에 주목하고 있는 상황으로, 푸쉬킨 이후부터 10월
혁명 직후, 즉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이 사실이다1). 그렇
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본고는 그것을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본다. 첫째, 이 시기는
언어상, 특히 형태적, 통사적 관점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안정된 시기’이었다. 둘째, 언
어 변화의 주요 동력으로 변이성 개념에 대한 언어학적 이해가 부족하였다.
우선 첫 번째 이유부터 간략히 서술해 본다. 피터 대제의 사회문화적 개혁, 1917년
10월 혁명, 그리고 1985년 페레스트로이카 이 후 시기와 비교하여, 19세기 중반 – 20
세기 초의 언어적 변화는 대단히 느리고 완만하게 진행되어, 일반 언중은 그 변화를 거
의 감지하지 못할 정도이었다. 그러나 언어는 자신의 내적, 그리고 외적 요인들과 상호
관계 속에서 반응하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은 것으로, ‘언제나 움직이는 물체’이다. 따
라서 이 시기 러시아 문학어도 여전히 움직이며 변화하고 있었고, 이 시기 가장 중요한 변화는 문체 체계의 확립과 더불어 텍스트 구성 방식의 변화(Бельчиков 2012:
46-51, Грановская 2005: 71-106)이었다. 사회적 급변으로 인한 새 어휘의 대거 등
장과 같은 변화와 비교할 때, 이 변화는 느리게 진행되고 쉽게 감지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안정된 시기로 표현되었지만,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에도 문학어는 당연히
사회문화적 조건과 맞물려 변화하고 있었고, 또 다음 시기의 변화를 태동하고 있었다.
두 번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현대언어학에서 언어 변화, 특히 문학어와 문
학어 규범 변화의 주요 동력으로 간주되는 변이성이 언어학적 개념으로 주목되기 시작
한 것은 20세기 후반 프라하학파의 문학어 이론에 의한 영향이다. 19세기 중반 - 20
세기 초 러시아 언어학계에서도 변이성 개념, 문학어의 규범 및 규범화, 그리고 언어와
말 문화에 관한 문제는 생소한 것이었고, 언어학적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는 상
황이었다. 또한 19세기 말 - 20세기 초, 과학아카데미 러시아어문학부 수장으로, 이
시기 러시아어학의 대표적 학자였던 샤흐마토프를 비롯하여 일부 언어학자들이 문학어
의 규범화 가능성에 대하여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던 것도 그 당시 이 문제가 연
구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 한 원인이었다.
본고는 먼저 II장에서 두 번째 원인, 즉 문학어와 문학어 규범, 그리고 규범 변화의
원동력인 변이형에 대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러시아 언어학계의 시각을 소개한
다. III장에서는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러시아어는 다른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
로 안정된 시기이지만, 언어는 동적인 물체이고, 특히 문학어와 문학어 규범은 사회문
화적 조건과 맞물려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관점에서 사회문화적 조건과 문학어의 상관
성을 고찰한다. 이 시기의 사회문화적 조건에서 바로 시평 문체(Публицистический стиль)
가 형성되었으므로, IV장에서는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시평 문체가 형성되는 사회문화적
조건과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시평 문체의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V장 맺음말에서는 연
구 결과를 요약하고, 시평 문체의 형성과 관련하여 문학어의 사회적 기반(Семенюк
1970: 516) 시각에서 러시아 문학어 발전사의 특징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Данная статья рассматривает формирование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ого стиля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 начале XX вв. и его значение в истории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далее РЛЯ) в аспекте зависимости изменения нормы ЛЯ от социально-культу-
рных условий и заключает следующие выводы:
① В рамках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ого стиля объединяют свободно публицисты и лите-
ратурные и народные разговорные речевые элементы с книжными для интимного
изложения эмоционально-экспрессивного 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② Одна из главных тенденций развития РЛЯ в изучаемую эпоху - это взаимо-
действие стилей, включая проникновение языковых средст, характерных для иных
стилей, в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ий, что повыщает поли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ь РЛЯ.
③ Ключевая роль в изменении РЛЯ переводится от создателя текста РЛЯ к его
пользователю в течении времени.
④ Показательно, что аналогичными оказываются роль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ого стиля
в изменении нормы РЛЯ в изучаемую эпоху и роль языка средств массовой инфо-
рмаци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목차
II. 문학어, 문학어 규범, 변이형에 대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러시아 언어학계의 시각
III. 사회문화적 조건과 문학어의 상관성
IV.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시평 문체와 문학어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델슈탐의 유대 테마 연구: 존재의 근원에 대한 탐색
- Продвижение экопродуктов в России методами адаптивного маркетинга
- «Война и мир» Л.Н.Толстого и доктрина ‘непротивления злу насилием’ (осмысление исторического опыта)
- Метафорическая концептуализация семейных отношений: зооморфная модель
- Современное состояние обычного права тувинцев
- Контаминантные окказионализмы в российском медиа-дискурсе
- Сигналы коммуникатив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роповедника и прихожан (на материале храмовых проповедей Екатеринбурга и Сеула)
- 러시아어 동사 활용과 강세;변동과 변이
- Сюжетно-тематические циклы топонимических преданий Юго-Восточной Тувы
- Новая экономическая политика на Алтае: 1921-1929 гг.
-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시평 문체의 형성과 의의
- Проблемы русско-китайской чайной торговли в середине ХIХ в
- Возникновение российского консерватизма в начале XIX в. и вопросы языка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