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n the Certified Geriatric Pharmacist Program of the U.S.: Certification, Education and Outcome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남혜연 조은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58권 제2호 (2014년), 129~14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elderly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pharmacists need to possess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to provide enhanced pharmaceutical care for senior patients. Purpos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on (1) the certified geriatric pharmacists (CGP) system, (2) the curriculum related to geriatric pharmacy education, and (3) the CGP’s performance in terms of clinical, economic and humanistic outcomes in the U.S. Method: The information related to CGP system and curriculum was obtained through the official websites of ‘American Society of Consultant Pharmacists’,‘Commission for Certification in Geriatric Pharmacy’ and the selected pharmacy school samples. Articles about on the out-comes of pharmacist-provided cognitive services including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were searched through PubMed. Results: To gain the CGP credential, pharmacists need 2-year experience as pharmacist in advance and take the CGP exam-ination. This certification must be renewed every 5 year. Most pharmacy schools provide geriatric-related curriculum through didactic or pharmacy practice classes for pharmacy students and certificate or dual degree in gerontology are given on com-pletion. Most previous outcomes research reported that pharmacists have played a role in yielding favorable results regarding
clinical, economic and humanistic outcomes for nursing facilities, hospitals and community pharmacy settings. Conclusion:Considering the organized CGP certification system and concrete educational courses established the basis for pharmacists to exert their ability for senior patients of the U.S., it is suggested to build a geriatric pharmacist credential model for pharmacists to provide the increasing elderly patients with the requisite safe and effective pharmacy care in Korea.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국민건강보험시장에서의 제네릭 의약품 사용 양상과 영향 요인
- 우라자미드 정의 유해시약 대체 시험법의 개발
- 영문목차
- 한국적 의학 기준에 근거한 고혈압환자의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와 Calcium Channel Blockers의 약물 평가
- 약사의 동물약국 인지 및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 국문목차
-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 미국의 노인전문약사 제도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인증, 교육 및 성과
- 폐의약품 수거사업’을 통해 지역약국으로 회수된 폐의약품의 분석
- 의약품 허가외사용 관리 체계 발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