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의 정책적 대응
이용수 275
- 영문명
- The Ris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Response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Korean Acts and Plans on Multiculturalism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이수철(LEE Soo Chul)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5권 제4호, 127~152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사회에서 지배적인 다문화 담론은 추상적이고 선언적 차원의 가치규범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것은 담론의 추상성은 정책을 통한 실천의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사회 다문화관련 흐름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주의 정책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 구분하여 의미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정부는 다문화 정책의 방향과 영역을 제시하고, 지방정부는 구체적 실천 영역을 설정하는 피상적으로 보이는 정책 역할 분담은 적절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내용에서 보면 이주민의 목소리가 배제된 타자화된 정책이었다. 특히 지역의 다문화 정책은 이러한 경향성이 더 심한데, 지방정부의 다문화주의 정책의 중심은 이주민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지역의 주민이다. 지방정부는 이주민들에게 선별적 정책 시행하고 있다. 필요가 있으면 지역사회 내부로 포섭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영역에서는 일상적인 차별이 일어나고 있다. 한편 다문화 정책이 실현되는 실질적인 현장인 지역사회에서는 그 지역의 특성에 맞게 실질적인 정책요구를 반영해서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의 정책적 요구와 필요가 중앙정부의 정책의 연결되는 경로는 단절되어 있었다.
영문 초록
Dominant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 has been situated in the abstract and declarative values and norms. The Abstractive multicultural discours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This study analyze the multicultural polici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o investigate the main stream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ulticultural policies of central government have set the direction and scope of the policies, and th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 have set the policy area. The rol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eem to appropriate formally, but substantially the policies exclude the opinion of the immigrants. In the case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ies, these tendency to be more severe.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a selective policy. Sometimes the immigrants are recognized as a member of local community as needed. However, they experience the routine discrimination in many cases. Local government implements the multicultural policies according to local community, is linked with central community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policies.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의 결과
Ⅴ. 결론을 대신해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