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경찰의 역사적 접근에 관한 서설적 연구
이용수 346
- 영문명
- An Introductory Study on Historical Approach of Korean Police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최선우(Choi Sun Woo)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8권,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찰학이 하나의 체계화된 정상과학으로서 위상을 확립하고 미래지향적인 경찰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국경찰의 역사가 체계적ㆍ과학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역사는 모든 학문의 기반이 되며, 이론적ㆍ실천적 기초가 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경찰학 역시 예외일 수는 없다. 그런데, 역사적 사실과 인식ㆍ해석의 관계를 토대로 한 역사적 접근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편, 경찰의 역사적 접근 방법은 다른 학문분야와 크게 상이하지는 않다. 그러나 경찰의 역사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경찰의 역사적 '진보'를 적절히 설명해줄 수 기본요소(국가의 성립과 제도화 및 전문화 등 관련 요소, 치안환경 등)들을 전체사적 관점에서 제시해주어야 할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 한국경찰에 있어서 이러한 역사적 접근이 심도있게 논의되지 못한 점을 감안 할 때,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토대로 하나의 탐색단계로서 의미를 갖고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very important to a systematic, scientific study for history of korean police. Because it present the status of police science and the vision of police. History is essential in all studies, therefore, police science are not exception. However, the approach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its perception & interpretation are very difficult. In fact, historical approach of police are similar to other fields. But, in order to reflect the historical speciality of police and its systematic approach, we are must show the basic elements(existence of nation, institution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police environments etc.) that are able to interpret the historical 'progress' of police in the perspective of holistic history. However, historical approach in korea police have not yet considerably studied, in this, I try to approach just 'one step for quest'.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한국경찰의 역사적 접근의 의의
Ⅲ. 한국경찰의 역사적 접근 방법
Ⅳ. 한국경찰의 역사적 접근 기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경찰활동에 근거한 지역경찰제의 실행 과제
- 경찰공무원의 에피커시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활동의 모형에 관한 연구
-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
- 청소년들의 긴장, 부정적 감정의 경험과 사이버공간에서의 비행
- 동반자살에 관한 연구
- 한국경찰의 역사적 접근에 관한 서설적 연구
- 마약-테러리즘(Narco-terrorism) 확산실태와 대응전략 연구
- 자치경찰과 지방정부와의 관계
- 경찰수사활동 평가체계정립을 위한 시론
- 미국 사회안전시스템의 새로운 변화와 전망
- 한국 경찰의 위기관리능력 제고방안
- 경찰의 주민의견 수집활동의 활성화 방안
- 21세기 미래지향적 교통경찰조직에 관한 연구
- 경찰계급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더보기법학 > 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