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京城日報ㆍ毎日申報と日本仏教
이용수 10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일민족문제학회
- 저자명
- 심원섭(沈元燮)
- 간행물 정보
- 『韓日民族問題硏究』제27집, 219~246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베 미츠이에(阿部充家) 사장 재임시의 『경성일보(京城日報)』와 『매일신보(毎日申報)』는 불교를 최우대하는 종교기사 편집방침을 갖고 있었으며, 일본 불교의 홍보와 포교를 지원하는 신문으로서의 성격 역시도 갖고 있었다.
경성일보의 제1면에 가장 많은 글을 연재한 일본인은 오타니 고즈이(大谷光瑞)다. 그는 도쿠토미 소호(徳富蘇峰)의 전폭적인 후원하에, 아시아, 인도 등지의 체험을 담은 기행문을 2년여나 연재했다. 이 기행문 속에서 그는 조선의 전통 문화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를 했지만, 현대 조선은 오직 경영과 개발대상이라는 시각에서만 보았다. 결론으로 그는 조선이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内正毅)의 선정(善政)으로 양 민족이 상호 번영해가는 공간이라고 썼다. 그는 조선 여행기를 통해 자신이 일본의 아시아 지배 확대를 지지하는 <실업적 제국주의>이자, 일본제 오리엔탈리스트임을 여실히 드러냈다.
임제종 묘심사파 조선포교 감독이었던 고토 즈이간(後藤瑞巖)은 아베 미츠이에의 지원 아래 「종교의 요의」라는 포교론을 매일신보에 발표했다. 그는 일본 불교가 국가주의적 종교라는 조선 기독교인의 비판에 대하여, 일본 불교가 「아」의 자각을 목표로 하는 종교이며, 하근기(下根機)를 위하여 타력적 신앙 체계를 적극 운용하고 있는 보편종교라는 점을 역설했다. 그러나 그가 성공적인 예로 제시한 것은 황국사관의 미화와 전쟁 동원을 위해 중세의 역사 속에서 불려 나온 구스노기 마사시게(楠木正成)였다. 그는 구스노기를 보살이자 불교 신앙이 도달해야 할 최고의 이상이라고 극찬했는데, 이로 인해 그의 포교론은 일본 근대 불교의 국가주의적 성격을 반어적으로 입증하는 논설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고토 즈이간의 이 포교론은 일본 불교의 정통성과 선진성에 대한 근거없는 믿음, 국가주의적인 일본 불교에 대한 맹목적인 신앙을 안고 있었던 당시 포교사들의 면모 일부가 노출된 예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はじめに
Ⅱ. 「仏教新聞」としての『京城日報』と『毎日申報』
Ⅲ. 大谷光瑞の紀行文と朝鮮観
Ⅳ. 後藤瑞巖の布教論 - 大和魂と日本仏教
Ⅴ. 結び
文献目録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한국신석기연구 제 49호 목차
- 신석기시대 갈판과 갈돌의 기술-기능적 분석과 사회문화적 의미
- 『기후의 힘 - 기후는 어떻게 인류와 한반도 문명을 만들었는가?』(박정재, 2021, 바다출판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