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도시락(弁当)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00

영문명
A Study on the Diversity of the Japanese BENTO
발행기관
한국식공간학회
저자명
노연아(Noh Yeon Ah)
간행물 정보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9권 2호, 69~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도시락인 벤토(弁当)가 역사의 흐름과 함께 어떻게 일본 식문화에 정착하고 발전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일본 도시락은 다른 나라의 도시락 개념과는 달리, 가정 식탁의 축소화를 지향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 문화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락은 오랜 역사를 거쳐 오는 동안 기능적인 면에도 변화를 보여 왔다. 이전에는 편이성, 경제성, 휴대성의 기능이 부각되었다고 한다면 요즘은 사회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여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반영하고 교육적인 측면이 더해진 면이 새롭다. 일본의 도시락 산업이 시장 규모면에서 독자적이고 월등한 경쟁력을 갖게 된 이유는 다양한 상품 개발과 함께 끊임없이 진화해 왔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휴대용 식사에서 미니 세트형 식사로의 변화, 철도 교통을 이용한 에키벤의 등장, 외식산업의 확대에 따른 레스토랑 메뉴로의 등장이다. 또한 기업과 기관 등이 주도하여 다양한 상품화가 시도되었는데, 에키벤 이외에도 편의점 도시락이나 도시락과 관련한 이벤트 등도 이에 포함된다. 본 논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로는 일본 도시락이 탄생에서 현대까지 발전해 오면서 사회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했고, 지역 산물과 함께 문화를 반영하여 상품화 한 것이 현대의 일본 특유의 도시락 산업의 성공으로 연결되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suggests how Japanese packed meal, bento has took root in the country and developed its dietary culture over time. Unlike any packed meals in other countries, Japanese want to have a feeling of having a meal at a table when they have a bento, which represents the unique side of Japanese culture. Bento has changed a lot in terms of functions since it first appeared. Convenience, economic feasibility and portability used to be considered important. However, what is new with bento today is that it not only reflects the life pattern of people in a modern society but also has some educational aspects as it responds to the social needs. Japanese bento industry has had unique and superior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so far because it has constantly evolved with a variety of menu developments. For instance, a portable bento is transformed to a miniature set bento. Ekiben (a station bento) emerged wit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restaurant menu bentos came up as a result of expanding catering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lead to commercialize plenty of bento products. Besides ekiben, convenience store bento and bento-related promotions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According to this research analysis, there are obvious reasons why this unique bento culture is successful in Japan. Bento, most of all, timely responded to societal changes, related with crops from local areas from the beginning as well and has continued to develop until toda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연아(Noh Yeon Ah). (2014).일본 도시락(弁当)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식공간융합연구, 9 (2), 69-88

MLA

노연아(Noh Yeon Ah). "일본 도시락(弁当)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식공간융합연구, 9.2(2014): 69-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