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어민 교수와 한국인 교수의 대학 영작문 수업 강의언어 비교분석
이용수 308
- 영문명
- Comparison of teacher talk between the native versus non-native speaking professors in college-level English composition cours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숙(Gim Jeong suk) 김현옥(Kim Hyeon Okh)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1 No.4, 201~225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nature of teacher talk between the native and non-native speaking professors with its focus on language functions and interaction modifications in English-mediated writing instruction. The study analyzed the classroom languages of two professors who were teaching college-level composition courses using the same textbook and syllabus. The classes taught by the two professors were vide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S-unit. The results showed both professors used all of the five function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uasion, opinion, future plans, and checking. The NS professor, on the other hand, used the information function more often, while the NNS professor relied more on the suasion function. The data also displayed that the NS professor gave more feedback responses, whereas the NNS professor asked more clarification requests and repeated their own utterances.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the teacher talk may be influenced by the subject-matter and the instructional foci of each professo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랑스어와 영어 학습자의 내재적 학습 동기 변수와 인식 비교 연구
- 초등영어 문법 교수ㆍ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및 실태 연구
- Effects of Integrated Reading-Writing Tasks on College Students' Writing Ability
- 통ㆍ번역을 통한 실전적 중국어 교육의 단계별 교수방안 연구
- "교사인가 도우미인가?"
- 원어민 교수와 한국인 교수의 대학 영작문 수업 강의언어 비교분석
- 한국인 학생 대상 아랍어 교육을 위한 음운론 연구
- 배경지식, 시간압박, 관여도가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전략을 활용한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수준별 읽기 지도 효과
- 영어 철자 오류의 유형과 학년에 따른 향상도
- 스마트폰 기반 게임 유형이 대학생의 어휘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영어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 Inappropriate Presenta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