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termedial Theatricality: Verbal-Visual Irony in Stoppard's After Magritte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Hee bon Park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14호, 219~2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traces and identifies intermedial theatricality in Stoppard's early play After Magritte (1970), showing how this is used to illustrate themes such as the discrepancy between appearance and reality, or the notion that reality can be more mysterious than fiction, by ironically reworking and re-playing the conventions of precursor visual texts. As the pun in the play's title suggests, After Magritte challenges the way we see what we see and explores the way art defines reality. Using the illusion of Magrittean visual qualities on stage, via the crucial opening and closing tableaus, Stoppard comically situates the reader/audience in the in-between space of the absurd and the rational, and of the dark and the light, while raising questions about the logic of normality and the errors of interpretation. The farcical yet serious complexity of perceptions portrayed in After Magritte is characteristic of Stoppard's work, along with the verbal wit and logical congruity, marking this play as fully deserving its place in the appreciation of these displays of comic theatricality.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Stoppard and Intermediality/Intertextuality
3. An Impressionist Stage: Appearance and Reality
4. Reality is Stranger Than Fiction: After Magritte
5. Conclusion
Works Cited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택과 고유성의 기호"
- 『그녀는 정복하기 위해 굴복한다』
- 핀터의 후기극에서 타자성의 관점이 시간성에 미친 영향
- 수잔 로리 팍스의 아브젝트의 제의
- 죽음과 재생
- 양 극단의 정치적 스펙트럼
- 그리스 비극을 통해 본 신성모독과 불경함에 관한연구
- 몸의 정치
- Revisiting Vocabulary Knowledge: A Focus on Colligation
- Intermedial Theatricality: Verbal-Visual Irony in Stoppard's After Magritte
-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부정관사 용법 이해도에 관한 연구
- 리처드 3세의 몰락과 비극성
- 영어 모문동사와 보충어의 내재의미 자질일치
- 『황무지』 원고본
- 케이트 쇼팽의 「소명과 목소리」와 제임스 조이스의 「참혹한 사건」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화 <작은 아씨들>의 리메이크 전략: 멀티모달리티를 중심으로
- 코퍼스 분석을 기반으로 한 『빌레트』의 서술적 특징 연구
- 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