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4,727
- 영문명
-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Focused on Stress Moderation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정문경(Jeong, Mun-Gyung)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34號, 199~224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스마트폰 중독요인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들이 대인관계, 자기 통제력, 가정불화, 소외감이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청소년의 대인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대인관계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가정불화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가정불화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의 차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소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소외감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문화와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며 중독예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d influential factors on adolescents' addition to smart-phones. Depending on the stress levels of adolescents, factors of addiction were decided to be variables based on bibliographical data and previous studies. Through an analysis of empirical data, this study tested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addiction factors had an impact on personal relationships, self-control, family trouble and a sense of alienation as well as the impact stress levels had in addiction to smart-phones. As a result, the influence level 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had on addiction to smart-phones was not significant, and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had no impact on the addiction with regard to stress levels. Second, the self-control of the subjec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ddiction to smart-phon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impact it had with the addiction depending on stress levels. Third, family troubles of the subjec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ddiction to smart-phon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impact it had on the addiction depending on stress levels. Fourth, a sense of alienation in the subjec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ddiction to smart-phon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act their sense of alienation had on addiction to smart-phones depending on stress level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ic data for the culture that adolescents use smart-phones in healthy ways and in prevention of addiction to them and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presented directions for prevention of addiction to smart-phon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적 분석
Ⅴ. 분석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에 나타난 따돌림의 실태와 교정복지의 역할 연구
- Comparative Perspectives on the American Juvenile Justice Systems
-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교정복지관점으로 본 군 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 수강명령 선행연구들에 대한 비판론
- 교정시설 수용자간의 성범죄 예방 및 교정복지적 방안
- 노인학대범죄 예방을 위한 교정복지적 차원의 효복지제도 활성화 방안
-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정신건강 및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교정복지를 위한 중간처우집의 사회적기업 활용방안
- 사회영향채권 모델과 교정복지 관련 사회문제에의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