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한 토석류 모의
이용수 32
- 영문명
- Simulation of Debris Flow Considering Erosion and Sedimenta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성덕(Sung Duk Kim) 이호진(Ho J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7호, 149~15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하여 토석류를 모의하는 것이다. 현재, 토석류를 연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수치모형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치모형의 대부분은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할 수 있는 Egashira(1997)방법을 이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토석류가 하류에 멈추어 설 때까지는 침식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침식 발생량은 증가하였고, 발생위치도 하류로 이동하였다. 토석류의 진동은 상류로부터 수로 길이 40% 지점을 통과한 이후로는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debris flow considering the erosion and the sedimentation. Currently, the effective method for studying and estimating the debris flow is to use numerical model. Most of numerical models in the published research do not consider the erosion and the sedimentation. In this study,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by using Egashira's method(1997) which is considered the erosion and the sedimentation. The erosion at the channel was dominant until debris flow was reached at the downstream of the channel. As the inflow was increased, the amount of peak erosion was increased, and the occurring point of it more moved down to stream of channel. The fluctuation of debris flow was disappeared after passing through the 40% point of channel length from the upstream.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 분석
Ⅲ. 모의결과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